[방치된 빈집]①전국 100호 중 8호 미주거 주택
정비·관리要 '빈집' 1000호 중 7호…올해에서야 집계돼
광역시도 빈집 수만호…"대도시도 빈집 문제 불가피"
전국 곳곳 방치된 노후 빈집이 안전문제와 더불어 도시 슬럼화, 범죄 유발 지역 양산 등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면서 정부가 세부 대응책 마련 및 시행에 속도를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진다. 전국에 사람이 살지 않는 ‘미주거 주택’이 100호 중 8호, 이중 정비 또는 관리를 요하는 소위 ‘빈집’이 1000호 중 7호에 이르는 실정이다.
[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
14일 통계청 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전국 미주거 주택 수는 가장 최근 통계인 2023년 11월 1일 기준 153만 4919호로, 2015년(106만 8918호) 대비 무려 43.6% 늘었다. 전국 주택(1954만 6299호)의 7.9%가 조사 당시 사람이 살고 있지 않았다는 의미다. 매매나 임대를 위해 일시적으로 비어있는 집이나 미분양, 공공임대주택까지 포함한다.
이중 실제 정비·관리가 필요한 ‘빈집’ 관련 통계는 올해에서야 처음 공개됐다. 한국부동산원 ‘빈집애(愛)’ 따르면 지난해 전국 빈집 수는 13만 4055호로 집계됐다. 2023년 전국 주택 수와 비교해 1000호 중 7호 수준이다.
대전에 방치된 빈집의 모습.(이데일리D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국 빈집 분포를 보면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율은 13.1%(1만 7601호)로 대부분이 지방 농어촌에 집중됐다. 다만 부산(1만 1543호)과 대구(6009호), 대전(4991호) 등 광역시에서도 빈집 규모가 상당해 대도시도 더 이상 빈집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황이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정책실장은 “우리가 빈집이 문제라고 이야기해 왔지만 빈집이 무엇이고, 지역별로 얼마나 있고, 또 유형은 어떻게 되는지 등 실태조사가 이제야 이뤄지고 있다”며 “서둘러 계획을 세우고 집행을 해봐야 정책 보완점도 나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