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정부, "전자제품 관세 제외" → "일시적 조치일 뿐" 입장 번복
가격 인상 부담 피했던 애플·삼성…아이폰17·갤Z7은 여전히 위험
[뉴욕=AP/뉴시스]2011년 12월7일 미국 뉴욕 그랜드 센트럴 터미널 근처에 있는 애플 로고. 2011.12.07.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시스]윤현성 기자 = 미국 정부가 반도체·스마트폰·컴퓨터 등 전자제품을 관세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발표하면서 애플과 삼성전자가 잠시 한숨을 돌렸다. 하지만 안도는 오래가지 않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이 "관세 예외 조치는 일시적"이라고 밝히면서 상황은 다시 안갯속으로 빠졌다.
특히 하반기 출시를 앞둔 애플 아이폰과 삼성 갤럭시 신작이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가격 인상 가능성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3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전자제품에 대한) 관세 예외가 발표된 적 없다. 단지 다른 부류로 옮길 뿐"이라고 밝혔다.
러트닉 장관도 미국 ABC뉴스 인터뷰에서 "전자제품은 일시적인 상호관세 면제 대상이지만 1~2개월 내 나올 반도체 관세에 포함될 것"이라며 "그 제품들이 미국으로 다시 돌아오게 하기 위해 특별한 집중 관세 유형이 적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과 상무장관이 잇따라 이를 '일시적 조치'로 규정하면서 반도체를 중심으로 전자제품에도 고율 관세가 다시 부과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스마트폰은 대표적인 반도체 집약형 제품이다. 단가가 높은 앱 프로세서(AP)를 비롯해 메모리, 전력관리칩,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등 수십여개의 반도체가 들어간다. 이들 중 상당수는 미국 외 지역에서 생산된다.
스마트폰에 대한 관세 재부과가 직접 언급되진 않았지만, 반도체에 고율 관세가 부과될 경우에도 완제품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제조원가 상승은 기업 입장에서 출고가 인상 또는 수익성 하락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관세 면제 발표 이후 한숨을 돌렸던 애플은 다시금 긴장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전체 아이폰 생산량의 약 90%는 중국이 차지하고 있다. 앞서 업계 일각에서는 상호관세가 스마트폰 완제품에 적용될 경우 중국 생산 제품에는 145%(펜타닐 관세 20%+상호관세 125%) 수준의 관세가 부과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 바 있다.
미국 IT 매체 씨넷(CNET) 등 일부 외신은 아이폰 가격이 30~40%까지 뛸 수 있다고 전망하기도 했다. 관세를 100% 가격에 전가하는 시나리오를 가정할 경우, 아이폰16 프로 맥스(256GB)의 미국 내 판매가격이 현재의 2.5배인 2937달러(약 417만원)에 달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다만 이는 극단적인 상황으로 실제 인상폭은 기업의 제품 전략과 환율 등 여러 변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서울=뉴시스] 삼성전자의 상반기 플래그십폰 '갤럭시 S25' 시리즈. (사진=삼성전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삼성전자는 조립 생산지가 베트남·인도 등으로 분산돼있어 애플보다는 비교적 관세 위협에서 자유로운 편이다. 하지만 핵심 부품의 상당수는 한국·중국·대만·일본·베트남 등에서 생산되며 이 역시 관세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다.
국내 부품사들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LG이노텍은 베트남 공장에서 생산한 카메라 모듈을 중국으로 보내 아이폰에 납품한다. 삼성전기도 고성능 적층세라믹콘덴서(MLCC)를 애플에 공급 중이다. 부품이 통관·조립되는 과정에서 관세가 부과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방위적인 리스크가 존재한다.
삼성전자는 이르면 7월께 플립·폴드7을 발표할 가능성이 크고, 애플은 9월 아이폰17 시리즈를 공개할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대로 반도체 관세가 근시일 내 시행된다면 신작에 고스란히 반영될 수 있다.
반도체 관세에 대해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우리나라 안에서 만들어야 한다"며 자국 내 생산을 관세 정책의 목표로 삼고 있다. 그는 "철강·자동차·알루미늄에도 그렇게 (별개 관세 부과를) 했다. 반도체에도 그렇게 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하지만 글로벌 공급망을 재편하려면 수년이 걸릴 수밖에 없다. 트럼프 정부의 관세 확대 기조가 자국 제조업 부활이라는 목표와 달리 단기적으로는 글로벌 공급망 혼란과 소비자 부담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