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별 상호관세, 발효 13시간 만에 中 외 90일 유예 조치
전자제품, 상호관세 제외공지 후 돌변 "면제 아냐…반도체도 곧"
미중 갈등 격화에 韓GDP 성장률 하락·공급망 리스크 확대 우려
"하루가 다르게 바뀌는 글로벌 경영 환경…모든 시나리오 준비중"
류영주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입에 따라 미국 관세정책이 조변석개하는 가운데 기업들이 불안감과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다.
국가별, 제품별 관세 부과 방침이 하루가 멀다하게 바뀌면서 기업들은 미국 정부 공식 발표 등에도 쉽사리 전략을 확정하지 못하는 분위기다.
"하루가 다르게 바뀌는 美관세정책, 외신 보기 무서워"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하루가 다르게 널뛰는 가운데 이를 바라보는 기업들이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특히 수출 비중이 높은 국내 주요 기업들의 피로감이 큰 상황이다.지난 11일 밤엔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이 지난 11일 반도체 제조장비와 스마트폰 등 여러 전자 제품을 상호관세 제외 품목으로 공지하며 '관세정책 후퇴'가 기대됐다.
하루가 다르게 바뀌는 미국의 관세정책에 국내 기업들은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한국시간 기준)주말과 새벽에 (전해지는) 외신을 보기 무서울 지경"이라면서도 "하루가 다르게 관세 정책이 바뀌고 있기 때문에 트럼프의 입만 보고 (기업들이) 움직일수는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불안한 상황이지만 (관세 정책이 오락가락 하면서) 섣부르게 움직여선 안 된다는 일종의 학습 효과도 생겼다"며 "이런 혼란이 (트럼프 대통령) 임기 내내 이어지는 것은 아닌지 그 점이 우려스럽다"고 토로했다.
미중 갈등 격화도 상존하는 위험…"모든 시나리오 준비중"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격화되는 미국과 중국 간 갈등도 국내 기업엔 위험 요인이다.
발등의 불은 중국이 전 세계를 대상으로 내건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다. 중국 상무부는 지난 4일 미국에 34%의 '맞불'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하면서 희토류 7종에 대한 수출 통제 조치도 시행한다고 밝혔다.
통제 대상은 △가돌리늄 △테르븀 △디스프로슘 △루테튬 △스칸듐 △이트륨 등 중희토류 및 희토류 자석 등인데 이들 품목을 중국 밖으로 반출하기 위해선 중국 정부의 특별 수출 허가를 받아야 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 이번 수출 통제가 업계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한 결과, 공공 비축 및 민간 재고와 대체재 등은 확보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전기차용 영구자석 첨가제로 주로 사용되는 디스프로슘과 형광체, 합금 첨가제 등에 사용되는 이트륨 등은 6개월분 이상의 공공 비축량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이 산업부의 설명이다.
다만 업계선 미중 갈등 장기화에 따른 공급망 차질에 대한 우려가 상당하다.
트럼프 대통령에 국가별 관세표 건네는 러트닉 상무장관.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중 갈등 심화로 글로벌 무역이 위축되면 수출 주도형 경제 구조를 갖고 있는 우리나라에 타격을 줄 가능성도 거론된다.
WTO(세계무역기구)는 미중 무역 갈등으로 양국간 상품 교역이 최대 80%까지 감소할 가능성을 제기하며 글로벌 무역의 약 3%를 차지하는 양국의 보복성 맞대응으로 글로벌 경제가 두 개 블록으로 갈라지면 전 세계 실질 국내총생산이 장기적으로 약 7%까지 감소할 것으로 봤다.
지난해 국내 총생산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36.3%(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으로 글로벌 무역이 위축되면 국내 경제가 타격이 불가피하다.
미중 모두 한국의 주요 수출국인 상황도 기업들엔 또 다른 위기 요소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수출 대상국 비중은 중국(19.5%)과 미국(18.7%)이 EU(10.0%)와 일본(4.3%) 등 다른 국가를 압도한다.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 SK, LG 등 국내 4대 그룹의 미중 수출 비중은 적게는 20%대에서 많게는 50%를 넘어선다.
재계 관계자는 "모든 기업들이 가능한 모든 시나리오를 준비하고 있다고 봐야할 것"이라면서도 "트럼프 정부의 통상 정책이 방향을 잡았다고 보기어렵고 국내 정치 불확실성도 있기 때문에 이런 상황들이 안정화된 후 기업들이 그에 맞는 전략을 확정하고 실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