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온라인·대형마트·전통시장 함께 성장할 유통 생태계 구축 절실"
전통시장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대형마트 의무휴업제가 시행한 지 10년이 넘었지만 전통시장 활성화 효과가 미미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새롬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더팩트ㅣ최의종 기자] 전통시장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대형마트 의무휴업제를 시행한 지 10년이 넘었지만 전통시장 활성화 효과가 미미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연 130만건 소비자 구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구매 패턴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이동했다며 대형마트 영업 규제가 오프라인 유통업을 포함한 지역 경제 쇠퇴를 가져올 수 있다고 15일 밝혔다.
한경연이 2022년 주말 식료품 구매액을 분석한 결과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일요일) 전통시장 평균 식료품 구매액은 610만원으로 대형마트가 영업하는 일요일(630만원)에 비해 낮았다.
2015년과 2022년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식료품 평균 구매액을 비교해 보니 전통시장 구매액은 의무휴업일 기준 2015년 1370만원에서 55% 줄어든 2022년 610만원이다. 온라인몰은 평일 기준 2015년 350만원에서 20배 이상 증가한 2022년 8170만원이다.
2020년을 기점으로 인터넷 쇼핑 판매액이 대형마트를 추월했다. 대형마트 3사 매출과 영업이익은 지속해 감소했고 최근 10년간 대형마트 52곳과 기업형 슈퍼마켓(SSM) 202곳이 폐업하는 등 오프라인 유통업 전반 침체가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 연구위원은 "인터넷 쇼핑이 대형마트를 대체하며 소비 중심축이 온라인으로 이동하는데 대형마트 규제는 더 많은 소비자를 온라인 쇼핑으로 전환해 오프라인 유통 시장 위축을 가속할 수 있다"고 말했다.
국내 대형마트 의무휴업 규제가 해외에서는 드문 사례라는 주장도 했다. 일부 국가가 종교 활동 보호를 목적으로 일요일 영업시간을 제한한 적이 있지만 점포 규모에 따른 차별적 규제가 아니고, 소비 환경 변화에 맞춰 완화하거나 폐지하는 흐름이라는 것이다.
유 연구위원은 "의무휴업 정책 효과가 미미하다면 과감하게 개선하거나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라며 "온라인과 대형마트, 전통시장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유통 생태계 구축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bell@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