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관세 면제 질문에 "車 기업 지원 모색"
스마트폰 관세 예외 질문엔 "난 유연한 사람"
오락가락 관세 정책에 불확실성 확대
AFP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트럼프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나이브 부켈레 엘살바도르 대통령과 회담하는 자리에서 한시 관세 면제 조치를 검토하는 특정 물품이 있느냐는 질문에 "자동차 기업들을 도울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는 "그들은 캐나다, 멕시코와 다른 지역에서 생산하는 부품을 이곳에서 만들기 위해 전환하고 있다"며 "시간이 좀 더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부터 수입산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발효했다. 다음 달 3일부터는 엔진·변속기·파워트레인 등 핵심 차 부품에 대한 관세를 발효할 예정이다. 그는 지난달 자동차 관세를 발표하며 "영구적"이라고 강조했지만, 자동차 관세 발효 약 2주 만에 향후 자동차 부문 관세를 일부 면제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구체적인 관세 면제 대상은 언급하지 않았다.
스마트폰이 관세 부과 예외 대상이 될 수 있다는 뜻도 내비쳤다. 전자제품 상호관세 면제 조치와 관련해 전날 직접 나서 "관세 예외를 발표한 적이 없다"고 해명한 지 하루 만에 또다시 말을 바꾼 것이다.
앞서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은 지난 11일 스마트폰, PC,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 20개 전자제품을 미국이 각국에 부과한 상호관세 적용 대상에서 제외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참모진은 전날 관세 유예가 한시 조치라고 진화했지만, 하루 만에 유연성을 언급하는 등 앞뒤가 안 맞는 발언과 행보로 시장 혼선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정책을 수시로 변경하면서 시장과 기업, 미국의 교역 상대방 모두 관세발 불확실성으로 큰 혼란에 빠졌다. 일단 관세 폭탄을 투하한 뒤 유예, 면제를 주고 다시 관세 재부과를 시사하는 등 정책 변경이 지속되면서 특히 기업들 입장에서는 장기적인 경영 계획을 수립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글로벌 금융회사인 노던 트러스트의 칼 태넌바움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소비자, 기업, 시장 신뢰에 가한 피해는 이미 돌이키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강공으로 주식·국채 투매 등 금융시장이 발작을 일으키고 월가 거물들이 잇달아 경기 침체를 경고하자 관세 정책에서 계속 물러서고 있다. 주먹구구식으로 관세 폭격을 쏟아붓고 다시 거둬들이는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조차 관세 정책의 방향을 잃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미국의 최대 경쟁 상대인 중국 역시 보복관세·희토류 수출 금지로 맞불을 놓는 등 관세 압박에 꿈쩍도 하지 않으며 트럼프 대통령도 다급해진 모습이다. 여기에 인플레이션과 경기 둔화 우려로 미국 내 여론까지 점차 악화하면서 관세 전쟁을 장기전으로 끌고 가기 어려운 상황이 돼 가고 있다.
AP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정책으로 인한 경제·정치 역풍을 최소화하려고 노력하면서 무역에 대한 강경 노선은 점점 모호해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