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 황병국 감독. 사진 |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스포츠서울 | 원성윤 기자] “마약사범들은 내부정보를 수사기관에 넘기는 대가로 형량을 경감받는다. 대부분의 마약 수사는 정보를 건네는 속칭 ‘야당’을 중심으로 돌아간다고 해도 과장이 아니다.”
황병국 감독은 지난 2020년 한 일간지에 실린 기사에 눈이 번쩍 뜨였다. 새로운 소재는 곧바로 영화 시나리오로 이어지게 됐다.
영화 ‘야당’을 연출한 황 감독은 최근 스포츠서울과의 인터뷰에서 “야당을 통해 진짜 마약의 세계 이야기를 많이 들었다. 야당이 작업하는 방식은 물론 실제 마약을 한 사람의 행동을 직접적으로 알게 됐다”며 “형사는 아무래도 합법적이다 보니 모습을 묘사하는 데 한계가 있다. 결국 실제 마약을 한 사람을 만날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영화 ‘야당’. 사진 |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제 얼굴을 보더니 ‘어어!’ 이러시더라고요. 소지품을 보니까 마약과는 관계가 없고, 주머니에 녹음기에 있는 걸 보더니 이해하긴 했죠. 그래도 마약 반장님이 ‘체포영장이 없으니까 오늘 소변검사는 못 한다’고 하셔서 제가 하겠다고 자청했죠.”
소변 검사를 하자 키트에 두 줄이 떴다. 음성이었다. 코로나 키트와 반대였지만, 두 줄이 뜨자 흠칫 놀랄 수밖에 없었다. 황 감독은 “실제로도 두 줄이 떠서 깜짝 놀랐다. 세밀한 것들은 영화에 녹였다”고 덧붙였다.
‘야당’ 황병국 감독. 사진 |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러면서 황 감독은 영화 속 관희의 검찰 사무실 벽면에 ‘소훼난파(巢毁卵破)’라는 사자성어를 배치한 이유를 설명했다. ‘둥지가 없어지만 알이 깨진다’는 뜻이다. 황 감독은 “법이라는 둥지가 부서지면 나라가 다친다. 지금 누군가가 부수고 있는지 누가 부수려고 하는지 관객들이 알았으면 좋겠다”고 의미심장한 당부를 보탰다.
끝으로 황 감독은 “우리 영화로 인해 마약에 관한 관심이 더 높아졌으면 한다”고 바람을 밝혔다.
“마약 전쟁에서 이긴 나라가 없어요. 우리나라도 마약사범이 해마다 더 늘어날 겁니다. 검거만 능사가 아니에요. 유일하게 포르투갈만 범죄자 숫자가 줄어들고 있는데, 이를 유심히 볼 필요가 있어요. 판매·유통업자에게 형량을 높이고 투약자는 국가에서 중독 치료를 받게 해요. 반면 우리나라는 약을 끊을 수 있는 곳의 접근성도 낮고 치료할 곳도 적어요. 정책을 획기적으로 바꿔야 합니다.” socool@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