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부가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추경 확대 편성과 반도체 산업에 대한 재정투자 강화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조금 전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모두발언 함께 들어보겠습니다.
<발표자 :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필수추경 규모 2조원 증액…12조원대 편성"
"재해·재난 대응, 통상·AI 경쟁력 강화·민생 지원 중점"
"대규모 재해·재난에 3조원 이상 투자"
"산불 피해 복구 위해 재해대책비 2배 이상 보강"
"이재민 주거 안정 뒷받침…재해 예비비 2조원 반영"
"중·대형급 산림헬기 6대 등 도입…산불 대응 역량 강화"
"급격한 통상변화 대응…첨단산업 4조원 이상 투자"
"정책자금 25조 신규 공급…수출바우처 지원기업 확대"
"AI·반도체 등 첨단산업 인프라 2조 이상 지원 확대"
"내수 회복지연…소상공인·취약계층에 4조 이상 투입"
"'부담경감 크레딧' 신설…'상상페이백 사업'도 추진"
"예비타당성 조사 절차 간소화…재정사업평가위 매달 개최"
"이번 추경 타이밍 중요…국회 초당적 협조 간곡 부탁"
"상호관세 부과 유예…'전력 보강' 지원 귀중한 시간"
"반도체 지원 26조→33조 확대…재정 4조 이상 투입"
"용인·평택 반도체 클러스터 지원 국가 70% 부담"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국비지원 비율 30~50% 상향"
"대규모 클러스터 국비 지원 한도 1천억원까지 확대"
"중소·중견기업 투자보조금 신설…저리대출 추가 공급"
"K-반도체 기술혁신 플랫폼 구축…실증사업 2.5배 확대"
"반도체 인재 확보…해외인재 국내 체류형 프로그램 신설"
"AI 추경으로 1.8조 투입…첨단 GPU 1만장 추가 확보"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수빈(soup@yna.co.kr)
정부가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추경 확대 편성과 반도체 산업에 대한 재정투자 강화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조금 전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모두발언 함께 들어보겠습니다.
<발표자 :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필수추경 규모 2조원 증액…12조원대 편성"
"재해·재난 대응, 통상·AI 경쟁력 강화·민생 지원 중점"
"산불 피해 복구 위해 재해대책비 2배 이상 보강"
"이재민 주거 안정 뒷받침…재해 예비비 2조원 반영"
"중·대형급 산림헬기 6대 등 도입…산불 대응 역량 강화"
"정책자금 25조 신규 공급…수출바우처 지원기업 확대"
"AI·반도체 등 첨단산업 인프라 2조 이상 지원 확대"
"내수 회복지연…소상공인·취약계층에 4조 이상 투입"
"예비타당성 조사 절차 간소화…재정사업평가위 매달 개최"
"이번 추경 타이밍 중요…국회 초당적 협조 간곡 부탁"
"상호관세 부과 유예…'전력 보강' 지원 귀중한 시간"
"용인·평택 반도체 클러스터 지원 국가 70% 부담"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국비지원 비율 30~50% 상향"
"대규모 클러스터 국비 지원 한도 1천억원까지 확대"
"중소·중견기업 투자보조금 신설…저리대출 추가 공급"
"K-반도체 기술혁신 플랫폼 구축…실증사업 2.5배 확대"
"반도체 인재 확보…해외인재 국내 체류형 프로그램 신설"
"AI 추경으로 1.8조 투입…첨단 GPU 1만장 추가 확보"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수빈(soup@yna.co.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