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목)

최상목 “12조원대 추경안 마련”…애초보다 2조 증액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당초 추진하려던 10조원 규모의 추경안 편성 계획을 바꿔, 12조원대 추경안을 국회에 제출하겠다고 밝혔다. 산불 등 재해 재난·대응에 3조원 이상, 통상·인공지능(AI) 경쟁력 강화 소상공인 등 민생 지원에 각각 4조원 이상을 편성한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며 “국회, 언론 등 다양한 의견을 고려하여 당초 말씀드렸던 10조원 규모보다 약 2조원 수준 증액한 12조원대로 (추경안을) 편성하겠습다”고 말했다. 10조원 규모의 추경안으론 경기 대응에 불충분하단 지적이 잇따르는 점을 고려했단 얘기다.



최 부총리는 “대규모 재해·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3조원 이상을 투자하겠다”고 말했다. 세부적으로 산불 피해 복구에 쓰이는 재해대책비를 기존 약 5천억원에서 2배 이상 보강한다. 또 신축 임대주택 1천호, 주택 복구를 위한 저리 자금 등을 이재민에게 지원한다. 중·대형급 산림헬기 6대, AI 감시카메라(30대), 드론(45대) 다목적 산불 진화차(48대) 등을 추가로 도입하기로도 했다. 이런 첨단장비 도입과 재해 예비비 등에 2조원을 반영하겠단 게 정부 구상이다.



급격한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AI 등 첨단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4조원 이상을 투자하겠단 계획도 내놨다. 정부는 관세피해·수출위기 기업의 자금난 해소를 위해 저리대출, 수출보증 등 정책자금 25조원을 신규로 공급하고, 관세대응 등 수출바우처 지원기업도 2배 이상 늘리겠다고 했다. AI, 반도체 등 첨단산업 관련 인프라·금융·R&D 등에도 “2조원 이상 재정지원을 확대하겠다”고 최 부총리는 말했다.



최 부총리는 추경안을 통해 AI 분야에 추가 투입되는 재정은 1조8천억원 규모라고도 밝혔다. 이를 통해 첨단 GPU를 3천장 이상 즉시 공급하고, 연내에 1만장을 추가로 확보하겠다는 게 정부 계획이다. 또 최 부총리는 “글로벌 탑(top) 수준의 한국형 AI 모델 개발을 위해 최정예 AI팀에 GPU, 데이터, 인재 등을 최대 3년간 집중 지원하는 ’월드베스트 LLM 프로젝트’도 가동하겠다”며 “AI 최고 인재가 겨루는 ‘글로벌 AI 챌린지’ 우승팀에게는 후속 연구비를 파격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내수 부진 장기화로 어려움이 큰 소상공인과 취약계층 관련 예산으로는 4조원 이상이 추경안에 반영된다. 이 중에는 소상공인이 공공요금과 보험료 납부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연간 50만원 수준의 ‘부담경감 크레딧’ 신설 예산이 포함돼 있다. 또 최 부총리는 연매출 30억원 이하 사업자에게 사용한 카드 소비 증가분(전년 대비) 일부를 온누리 상품권으로 환급하는 ‘상생페이백 사업’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저소득층 청년·대학생, 최저신용자의 생활 안정을 위한 정책자금 공급도 2천억원 수준 확대하겠다”며 “이번 추경은 무엇보다 타이밍이 중요하다”며 “추경안이 최대한 이른 시일 안에 통과될 수 있도록 국회의 초당적 협조와 처리를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민주주의, 필사적으로 지키는 방법 [책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한겨레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