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대하면 3500만원 준다더니"
키이우 기자회견서 돈 떼였다 주장
러시아군 용병으로 참전했다가 우크라군 포로가 된 장런보(왼쪽)와 왕광쥔(오른쪽)씨. (사진=AFP)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4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보안국(SBU)은 키이우에서 포로인 장런보(張仁波·27)와 왕광쥔(王廣軍·34)의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 중국인 포로는 기자회견에서 러시아 용병으로 참전한 후 혹독한 시간을 보냈다며 중국인들의 참전을 만류했다.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 등에 따르면, 장씨는 지난해 12월 관광 목적으로 러시아 모스크바에 도착해 일주일간 머무르다가 러시아 용병이 되면 200만 루블(한화 약 3460만원)을 준다는 광고를 보고 자원했다고 전했다.
왕씨의 경우 중국에서 틱톡(TikTok) 광고를 보고 러시아 용병에 지원했다. 왕씨는 러시아 타타르스탄 공화국 카잔과 남부 로스토프나도누 등을 거쳐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으로 이동했고, 러시아군 훈련소로 들어갔다고 한다.
외국인 용병들에 제대로 된 대우를 해주지 않아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례도 나왔다고 했다. 왕씨는 “외국인 용병 중 한 명이 한밤중에 극단적 선택을 했다. 하지만 내부 통제가 워낙 강해 누구도 그 이유를 알지 못했다”고 말했다. 두 사람은 “우크라이나의 포로 대우가 적어도 러시아군보다는 훨씬 낫다”고 전했다.
다만 중국은 자국민이 러시아군 용병으로 싸우고 있단느 주장을 부정하고 있다. 중국 측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러시아 군에서 중국인 수백명이 싸우고 있다고 주장하자 “무책임한 발언을 하지 말 것을 권고한다”면서 강하게 반발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