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나연 한투운용 책임매니저
매출 좌우 ‘콘서트·MD’ 수익증가
BTS 복귀, 산업전반에 긍정영향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 관세 영향이 없으면서 올해 실적이 무조건적으로 성장한다고 보는 국내 섹터는 엔터테인먼트와 방산 정도뿐입니다.”
이나연(사진) 한국투자신탁운용 주식운용본부 리서치팀 책임매니저는 15일 헤럴드경제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올해 국내 엔터 4사(하이브·와이지·JYP Ent·에스엠) 주가는 평균 21.98% 상승했다. JYP엔터(-11.83%)를 제외하면 하이브(15.13%), 와이지(35.79%), 에스엠(48.81%) 모두 코스피(1.41%)·코스닥(4.45%) 지수를 상회한다.
미국 관세 발효 영향에서 자유로워 상대적 수혜도 뒷받침됐다. 이 매니저는 “반도체부터 소비재까지 주당순이익(EPS)에 부정적 영향을 받는 섹터가 많지만 엔터는 상관이 없다”며 “(엔터)EPS가 올라 간다라기 보다 상대적인 수급에서 플러스(+)로 작용됐다”고 했다.
6월께로 예상되는 BTS 완전체 복귀는 산업 전반에 긍정적이다. 팬덤 간 경쟁을 일으키면서 다른 아티스트 앨범 등 판매량 증가가 기대되면서다. BTS 소속사의 신인 아티스트는 ‘BTS 후배’라는 낙수효과도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과거 엔터 주가 발목을 잡은 중국 시장이 개화하는 흐름은 장기적 관점에서 주가 잠재력이다. 이 매니저는 “(중국 시장이)열린다고 하더라도 올해 아티스트 일정이 거의 확정된 상태기 때문에 당장 올해 실적에 유의미하게 기여하기는 힘들다”면서도 “내년이나 후년에는 굉장한 업사이트 포텐셜(상승 장재력)이 있을 수 있다”고 했다.
현재 주가는 밸류에이션 측면에서도 매력적인 수준이라는 판단이다. 이 매니저는 “성장하는 구간에서 (밸류에이션을) 30배에서 40배로 보고 있는데 올해 실적 컨센서스 기준 17~36배 정도여서 다소 비쌀 수 있다”고 했다. 하지만 “내년 실적 기준 (밸류에이션이) 26배까지 내려오면서, 밴드에서만 왔다 갔다 하더라도 업사이드가 아직 남아 있다”면서 “컨센서스 자체도 올라갈 걸로 보고 있어 실제 밸류에이션은 더 낮아질 수 있다”고 했다. 유동현 기자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