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3국 대상 전망 보고서 발표
필리핀 6.3% 등 아세안 전체 4.7%
中 무역전쟁에도 4.8%, 日 1.3%
美 대응 위해 재정 완충 여력 확보 필요
"통화정책, 금융·대외 안정성 고려해야"
거시경제조사기구인 암로(AMRO)는 15일 이 같은 전망을 담은 올해 지역 경제전망(AREO) 보고서를 발표했다. AMRO는 아세안 10개국과 한국, 일본, 중국을 포함한 회원국의 경제 및 금융 안정을 지원하는 국제기구다. 매년 이들 국가의 전반적인 경제 동향을 점검하고 필요한 정책을 권고하기 위해 해당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AMRO는 아세안+3 지역이 미국 보호무역 정책 강화로 역내 성장이 작년 4.3%에서 올해 4.2%, 내년 4.1%로 둔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견고한 국내 소비, 투자와 반도체 및 관광 산업 등 대외 수요 개선에 힘입어 4%대 안정적인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했다. 역내 인플레이션은 올해 1.9%로 내다봤다.
아세안 전체는 올해 4.7% 성장률을 기록해 한·중·일 3국(4.1%)보다 성장세가 클 것으로 봤다. 아세안 국가별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베트남(6.5%), 필리핀(6.3%), 캄보디아(5.8%), 인도네시아(5.0%), 말레이시아(4.7%), 라오스(4.6%) 순이다. 싱가포르는 글로벌 전자 공급망 중심지라 반도체 업황에 민감한데, 2023년 반도체 업황 악화에 따른 기저효과로 작년에 4.4%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가 올해 2.7%, 내년 2.4%로 정상화될 전망이다.
물가 전망의 경우 내전 중인 미얀마가 계속 극심한 인플레이션에 시달릴 전망이다. AMRO는 미얀마의 물가상승률이 작년 27.5%에서 올해도 25.0%의 높은 수준을 유지하다가 내년에는 18.0%로 둔화될 것으로 봤다. 라오스는 중국 일대일로 사업 참여로 인한 대규모 부채 문제에 시달리고 있는데 물가상승률이 작년 23.1%에서 올해 10.1%, 내년 6.4%로 다소 낮아질 전망이다.
AMRO는 아세안+3 지역의 향후 하방 위험이 우세한 상황이라고 짚었다. 특히 미국의 보호무역 정책 강화가 글로벌 무역 경로를 통해 역내 성장을 둔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 외 글로벌 금융 여건의 긴축과 주요 경제권 성장 둔화, 원자재 가격 급등을 단기 하방 요인으로 꼽았다. 장기적으로는 인구 고령화와 기후 변화, 기술 충격 등을 지목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선 단기적인 경기 대응 능력을 유지하면서 장기적으로 재정 완충 여력을 확보하는 재정 정책이 필요하다는 게 AMRO 평가다. 통화 정책은 국가별 여건에 따라 조정 폭과 시기를 신중하게 결정하되 금융 및 대외 안정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봤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지난번 연례협의 결과와 수치가 같은 상황"이라며 "최근 미국이 발표한 관세 영향 등은 곧바로 반영하기가 어렵고 상황이 수시로 바뀌다 보니 (이번 발표에) 다 담기진 않았다"고 설명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