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목)

‘보수 직행’ 김문수 “박정희·이승만 동상 광화문에 세워야”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한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왼쪽)과 이철우 경북지사가 15일 서울 박정희기념관에서 만났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6·3 대선 출마를 선언한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15일 “박정희 대통령 때는 (전두환·노태우 때처럼) 참사가 없었다. 총을 쏴서 누가 사망하고 이런 거 없었지 않았느냐”라며 “대한민국 민주화 운동에 반박정희·반이승만, 이런 것들은 잘못됐다”고 주장했다.



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을 앞두고 보수층을 겨냥한 발언으로 풀이되지만, 박정희 정권이 자행한 무자비한 국가폭력에 눈 감고 민주화 운동마저 부정하는 듯한 태도를 보인 것이다. 김 전 장관은 “박정희·이승만 대통령 동상을 광화문 광장에 세워야 된다”는 주장도 내놨다.



김 전 장관은 이날 오전 서울 상암동 ‘박정희 대통령 기념관’에서 이철우 경북지사를 만난 뒤 기자들에게 “박 전 대통령이 돌아가셨을 때 저는 이제 민주주의가 된다고 굉장히 기뻐했는데, 그 뒤로 민주화도 안됐다. 거꾸로 전두환·노태우 때문에 광주에서 피 흘리는 걸 봤다”며 “박 전 대통령 땐 총을 쏴서 누가 사망한 게 없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박정희 정권 때 인민혁명당 사건,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 사건 등 각종 시국사건과 긴급조치 등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체포·구금돼 고문당하고 숨졌다.



김 전 장관은 “박 전 대통령이 계실 땐 항상 배가 고팠지만, 지금은 저도 다이어트를 하고 있다. 전깃불이 없었지만 지금은 전기가 너무 많고, 물도 없었는데 지금은 틀면 나오고, 아파도 병원을 못 갔는데 지금은 몇 천원이면 된다”며 “박정희 대통령 때 모든 면에서 다 바뀐 것”이라고 했다.



그는 “그때 박정희 군사독재다, 유신독재다 계속 싸웠는데, 지금 생각해보니 전세계에서 박정희 대통령을 배우러 온다. 세계적으로 위대한 업적을 가지고 있는 대통령도 평가를 잘 안 하고 있는 게 많다”며 “다른 나라에서 모두 존경하는 이승만·박정희 대통령을 우리 국민들이 민주화 운동한다는 이름으로, 두 분을 아직까지도 제대로 알지 않고 교육도 안하는 것은 대한민국을 부강하게 하는 길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김 전 지사는 “박정희 대통령과 이승만 대통령 동상을 광화문 광장에 세워야 된다”고 주장했다. 또, 2017년 만들어진 박 전 대통령 동상을 “이 기념관 앞에 세우면 되는데, 반대 여론을 우려해 아직까지 주물공장 창고같은 데 누워 계신다”며 “이런 부분은 나라 전체로 봐서도 손실이고, 수치”라고 주장했다.



자리에 함께한 이철우 지사 역시 박 전 대통령 찬양에 맞장구를 쳤다. 이 지사는 “박 대통령은 독재도 했지만 우리나라의 근간을 만들었다. 여러분들 오늘 밥 잘 먹고 잘 사는 것은 박 대통령 덕분”이라며 “외국에서 다 인정하는데 우리나라만 인정을 안하려 한다. 김일성을 인정해야지 왜 박정희를 인정하느냐는 사상이 자꾸 투입되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경북 칠곡에 6·25 전쟁기념관이 있는데, 이승만·트루먼 대통령 동상을 세울 당시 ‘좌빨’들이 와서 데모도 많이 했다”며 “기념관 앞에 동상 하나 못 세우게 하는 나라가 나라 맞느냐”고 주장했다.



손현수 기자 boysoo@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민주주의, 필사적으로 지키는 방법 [책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