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반도체 이미지. 오픈AI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가 반도체 생태계 구축을 위한 지원 규모를 기존 26조원에서 33조원으로 확대한다. 경기도 용인·평택 반도체 클러스터의 적기 조성을 위해 송전선로 지중화 비용의 70%를 분담하고,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생산 기업에는 최대 50%의 보조금을 지원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에 대한 품목별 관세율을 조만간 발표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정부가 반도체 산업에 대한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해 재정 투자를 강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기획재정부는 15일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글로벌 반도체 경쟁력 선점을 위한 재정투자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반도체 특별법이 국회에 계류 중인 가운데 반도체 시장 골든타임을 놓칠 우려가 있다는 판단하에 국내 기업이 겪는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재정 투자 강화 방안을 마련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우선 약 1조8000억원 규모의 용인·평택 반도체 클러스터의 송전선로를 땅에 묻는 지중화 비용의 70%를 국비로 지원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정부는 올해 추가경정예산안에 626억원을 신설한다. 다만 반도체 특별법 통과를 전제로 하고 있어 법안 통과 여부에 따라 실제 지원 여부와 시점, 규모가 달라질 수 있다.
반도체·디스플레이·2차전지·바이오 등 국가 첨단전략산업의 공급망 안정품목·전략물자를 생산하는 소부장 중소기업에 대한 투자보조금도 신설한다. 지원 한도는 건당 150억원, 기업당 200억원이며 신규 투자액의 30∼50%를 국가가 지원해주는 방식이다. 중소기업은 수도권 40%·비수도권 50%, 중견기업은 수도권 30%·비수도권 40%의 지원율이 적용된다. 정부는 이 사업을 위해 올해 추경안에 700억원을 편성한다.
이 밖에도 정부는 국내 신진 연구자의 해외 유출을 방지하고 기업들이 반도체 분야 우수 인재를 확보할 수 있도록 대학·연구기관 신진 석·박사를 대상으로 하는 연수·연구 프로그램을 신설하기로 했다. 또 해외 전문기술 인력 유치를 위해 국내 체류 지원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수도권에 몰린 반도체 아카데미도 전국적으로 확대한다.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주 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