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트럼프, 반도체 관세 예고에…엔비디아 "AI슈퍼컴 미국서 만든다"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엔비디아 4년간 미 AI 인프라에 710조 투자,
AI 칩 이어 AI 슈퍼컴퓨터도 미국에서 생산…
AMD도 "TSMC 애리조나 공장서 첨단 칩 생산"

/AFPBBNews=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 관세 부과를 예고한 지 하루 만인 14일(현지시간) 미국 반도체업체 엔비디아와 AMD가 연이어 미국 내 AI 인프라 구축 및 칩 생산 계획을 발표해 눈길을 끈다.

블룸버그·로이터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이날 공식 블로그를 통해 향후 4년간 TSMC, 폭스콘, 위스트론, 엠코, SPIL 등 파트너사와 협력해 미국에서 최대 5000억달러(약 710조8500억원) 규모의 AI(인공지능)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라며 미국 내 AI 슈퍼컴퓨터 전용 생산공장도 건설할 것이라고 밝혔다. AI 반도체 칩, AI 슈퍼컴퓨터 등 AI를 개발하고 실행하는 데 필요한 제품 모두를 미국에서 생산하겠다는 구상이다. AI 슈퍼컴퓨터는 AI 연산을 처리하는 데이터센터 가동에 사용된다.

엔비디아는 이날 성명에서 자사 AI 칩 '블랙웰'과 AI 슈퍼컴퓨터 생산을 위한 100만평방피트(약 9만3000㎡) 이상의 공간도 확보했다며 "블랙웰 칩은 이미 애리조나주 피닉스에 있는 TSMC 공장에서 생산하고 있다. AI 슈퍼컴퓨터 공장은 텍사스주에서 폭스콘(휴스턴)과 위스트론(댈러스)과 협력해 건설 중으로 두 공장 모두 약 12~15개월 안에 대량 생산에 나설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AI 칩부터 슈퍼컴퓨터까지 미국에서 모두 생산되는 건 최초라고 강조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최고경영자)는 성명에서 "세계 AI 인프라의 엔진이 처음으로 미국에서 만들어지고 있다"며 "미국 내 제조 역량을 확대해 AI 칩과 슈퍼컴퓨터 수요 증가에 대응하고, 공급망을 강화해 회복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왼쪽)와 리사 수 AMD CEO /AFPBBNews=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엔비디아의 경쟁사이자 미국 대표 반도체 설계업체인 AMD도 같은 날 미국 내 최첨단 반도체 칩 생산 계획을 알렸다. AMD는 14일 보도자료를 통해 자사 서버용 4세대 에픽(EPYC) 프로세서인 코드명 '베니스'가 TSMC의 애리조나 공장 내 2나노미터(nm, 1nm=10억분의 1m) 공정 기술 기반으로 생산된다고 밝혔다. '베니스'는 AMD의 데이터센터 CPU(중앙처리장치) 로드맵의 핵심 제품으로 내년 출시를 목표로 두고 있다.

보도자료 공개 이후 리사 수 AMD CEO는 대만 대만국립대학에서 기자들에게 "AMD는 TSMC의 2nm 공정과 애리조나 공장의 첫 번째 HPC(고성능 컴퓨팅) 고객"이라며 "이는 AMD가 최첨단 기술 혁신을 주도하고, 미래 컴퓨팅을 실현하는 데 있어 TSMC와 강력한 파트너십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외신은 엔비디아와 AMD의 이번 발표가 트럼프 대통령의 반도체 관세 부과를 예고한 상황에서 나왔다며 이들이 반도체 관세를 공급망 이전으로 대응하려는 것이라고 짚었다. 엔비디아와 AMD는 TSMC의 오랜 고객으로 그간 대만 공급망을 구축해 왔다.

미국 백악관은 엔비디아의 미국 AI 인프라 구축 계획을 환영하며 "트럼프(대통령의 관세) 효과가 실제로 나타나고 있다"고 자찬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제조업 부흥을 위한 노력의 하나로 미국 내 칩 제조를 우선순위로 삼았고, 그 결과 기술 부문에서만 수조 달러의 신규 투자를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덧붙였다.

정혜인 기자 chimt@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머니투데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