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정부가 오늘(15일)부터 한국을 민감국가 명단에 넣어 관리합니다. 우리 정부는 결국 효력 발생 전에 이 조치를 해제하는 데 실패했는데, 미국과의 연구 협력에 걸림돌이 될 거란 우려가 큽니다.
조보경 기자입니다.
[기자]
미국 시간으로 15일 0시부터 미국 에너지부가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명단이 시행됐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 출신 연구자가 미국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를 방문하려면 최소 45일 전 자료를 제출하고 별도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미국 에너지부 직원 등이 한국을 방문하거나 접촉할 때도 별도의 보안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정부는 가장 낮은 단계로 분류된 만큼 앞으로 불이익이 없을 거라고 설명합니다.
하지만 당장 한국 연구자들의 출장 절차부터 까다로워지는 등 불편을 체감해야 하는 만큼 연구자 간 협력이 위축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이춘근/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초빙전문위원 : 한국 사람이 방문을 하고 접촉을 하고 협력을 하게 되면 정보 부서에 이것을 신고해야 된다. 그런 거는 심리적으로 굉장히 커다란 영향을 미쳐요.]
한국은 앞서 1981년에도 민감국가로 분류됐다가 13년 만인 94년 7월에야 지정 해제된 바 있습니다.
현재 한국 정부는 '보안 문제'라는 미국 측 설명 외에 구체적 지정 배경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어 당장 해제는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정부는 교섭을 계속 하고 있다며 좀 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고 했습니다.
[영상취재 이주현 / 영상편집 지윤정 / 영상디자인 김윤나]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