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광명 신안산선 붕괴사고로 실종된 작업자를 찾기 위한 구조작업이, 엿새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공사 관계자는 경찰 조사에서 터널 보강 공사를 위해 강철 기둥을 내리다 사고가 났다고 진술한 걸로 전해졌습니다.
권지윤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사고 발생 엿새째인 오늘(16일), 소방당국은 50대 실종자를 찾기 위해 밤샘 작업을 벌였습니다.
실종자가 마지막으로 목격된 것으로 전해진 교육장 컨테이너를 찾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홍건표/광명소방서 화재예방과장 : 컨테이너를 현재 발견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안전 조치를 하면서 지금 밑으로 계속 작업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붕괴 잔해물을 제거해 가며, 지하 20m 깊이까지 진입로를 확보해 구조대원을 투입했지만, 특이 사항을 발견하지는 못했습니다.
교육장 컨테이너는 지하 40m 깊이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아직 육안으로는 확인되지는 않았습니다.
특수대응단 등 구조대와 크레인 등 장비를 동원해 새벽 수색도 벌이고 있지만, 실종자 찾기에 속도를 내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지반 약화 등으로 추가 붕괴 우려가 있어 중장비 투입이 제한된 상태입니다.
당국은 실종자가 교육장 컨테이너 외 다른 장소에 있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수색 반경도 넓혀가고 있습니다.
사고 원인 규명에 나선 경찰은 본격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공사 관계자들을 소환해 "H빔을 지하터널로 내리던 중 사고가 났다"는 진술을 확보했습니다.
H빔은 단면이 알파벳 H 모양으로 생긴 강철 기둥으로, 건물의 뼈대를 세우거나 보강 공사를 할 때 사용됩니다.
지난 11일 붕괴 사고 직전, 터널 내부 보강공사를 위해 H빔을 내리던 중 사고가 났다는 게 공사 관계자들의 진술입니다.
해당 진술을 토대로 공사 책임자 등에 대한 조사가 이뤄지면 사고 원인의 윤곽도 드러날 걸로 보입니다.
(영상취재 : 정상보·김태훈, 영상편집 : 박나영)
권지윤 기자 legend8169@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명 신안산선 붕괴사고로 실종된 작업자를 찾기 위한 구조작업이, 엿새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공사 관계자는 경찰 조사에서 터널 보강 공사를 위해 강철 기둥을 내리다 사고가 났다고 진술한 걸로 전해졌습니다.
권지윤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사고 발생 엿새째인 오늘(16일), 소방당국은 50대 실종자를 찾기 위해 밤샘 작업을 벌였습니다.
실종자가 마지막으로 목격된 것으로 전해진 교육장 컨테이너를 찾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붕괴 잔해물을 제거해 가며, 지하 20m 깊이까지 진입로를 확보해 구조대원을 투입했지만, 특이 사항을 발견하지는 못했습니다.
교육장 컨테이너는 지하 40m 깊이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아직 육안으로는 확인되지는 않았습니다.
특수대응단 등 구조대와 크레인 등 장비를 동원해 새벽 수색도 벌이고 있지만, 실종자 찾기에 속도를 내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당국은 실종자가 교육장 컨테이너 외 다른 장소에 있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수색 반경도 넓혀가고 있습니다.
사고 원인 규명에 나선 경찰은 본격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공사 관계자들을 소환해 "H빔을 지하터널로 내리던 중 사고가 났다"는 진술을 확보했습니다.
지난 11일 붕괴 사고 직전, 터널 내부 보강공사를 위해 H빔을 내리던 중 사고가 났다는 게 공사 관계자들의 진술입니다.
해당 진술을 토대로 공사 책임자 등에 대한 조사가 이뤄지면 사고 원인의 윤곽도 드러날 걸로 보입니다.
(영상취재 : 정상보·김태훈, 영상편집 : 박나영)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