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일본에서는 지난해부터 계속해서 쌀값이 상승하며 쌀값이 역대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현지에선 "쌀 소동"이라 불릴 정도로 쉽게 진정되지 않고 있는데 심지어 한국이 싸다며, 관광 간 김에 쌀을 사가는 일본인 관광객들도 있다고 합니다.
도쿄에서 신지영 특파원이 입니다.
◀ 리포트 ▶
도쿄 시내의 한 마트에 가봤습니다.
쌀 5kg을 4,400엔, 우리 돈 약 4만 4천 원에 판매 중입니다.
1년 새 두 배가 올랐습니다.
[요시하라 카오리]
"위로 아들이 둘 더 있어요. 한창 먹을 때라‥빨리 쌀값이 안정됐으면 좋겠어요."
SNS에선 한국의 쌀값이 화젭니다.
'한국에 간 김에 현미와 백미를 사 왔다'며 '근육 훈련을 한 것 같다'는 경험담부터, 일본에서 8만 원이 넘는 쌀 10kg이 '한국에선 3만 6천 원에 판다'며 가격을 비교합니다.
'돌아갈 때 쌀을 사가야 하나 고민 중'이라는 여행객의 글도 눈에 띕니다.
[이나가키 타다시/농림수산성 식물방역소 차장]
"확실히 작년 여름부터 쌀 반입이 늘었습니다. 한국에서 쌀을 가져오는 분들 대부분 증명서까지 제대로 챙겨오는 편입니다."
쌀을 못 구해 임시로 문을 닫거나, 아예 폐업해버린 쌀 가게도 늘고 있습니다.
대형 유통업체는 고육지책으로 일본산 20%에 미국산 80%를 섞은 쌀을 팔기 시작했습니다.
이달 들어서만 소고기덮밥과 삼각김밥의 가격이 10% 안팎으로 인상되는 등 쌀값 고공 행진은 외식물가도 흔들고 있습니다.
[소비자]
"(가격이 올라) 앞으로 좀 덜 가게 될 것 같네요."
쌀값은 벌써 14주 연속 상승 중입니다.
작황이 나빠져 공급이 줄었다고 해도, 왜 이렇게 계속 오르는지, 일본 정부는 정확한 원인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재난 상황에만 풀었던 비축미까지 두 차례나 풀었지만 가격은 잡히지 않고 있습니다.
일본이 장기간 진행해 온 감산 정책의 부작용이 현실화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올해 햅쌀이 나올 때까진 쌀값이 잡히긴 어려울 거란 암울한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도쿄에서 MBC 뉴스 신지영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신지영 기자(shinji@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일본에서는 지난해부터 계속해서 쌀값이 상승하며 쌀값이 역대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현지에선 "쌀 소동"이라 불릴 정도로 쉽게 진정되지 않고 있는데 심지어 한국이 싸다며, 관광 간 김에 쌀을 사가는 일본인 관광객들도 있다고 합니다.
도쿄에서 신지영 특파원이 입니다.
◀ 리포트 ▶
도쿄 시내의 한 마트에 가봤습니다.
1년 새 두 배가 올랐습니다.
[요시하라 카오리]
"위로 아들이 둘 더 있어요. 한창 먹을 때라‥빨리 쌀값이 안정됐으면 좋겠어요."
SNS에선 한국의 쌀값이 화젭니다.
'돌아갈 때 쌀을 사가야 하나 고민 중'이라는 여행객의 글도 눈에 띕니다.
[이나가키 타다시/농림수산성 식물방역소 차장]
"확실히 작년 여름부터 쌀 반입이 늘었습니다. 한국에서 쌀을 가져오는 분들 대부분 증명서까지 제대로 챙겨오는 편입니다."
쌀을 못 구해 임시로 문을 닫거나, 아예 폐업해버린 쌀 가게도 늘고 있습니다.
이달 들어서만 소고기덮밥과 삼각김밥의 가격이 10% 안팎으로 인상되는 등 쌀값 고공 행진은 외식물가도 흔들고 있습니다.
[소비자]
"(가격이 올라) 앞으로 좀 덜 가게 될 것 같네요."
쌀값은 벌써 14주 연속 상승 중입니다.
재난 상황에만 풀었던 비축미까지 두 차례나 풀었지만 가격은 잡히지 않고 있습니다.
일본이 장기간 진행해 온 감산 정책의 부작용이 현실화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올해 햅쌀이 나올 때까진 쌀값이 잡히긴 어려울 거란 암울한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도쿄에서 MBC 뉴스 신지영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신지영 기자(shinji@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