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시장 오후 거래에서,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전일 대비 4.3bp(1bp=0.01%포인트) 하락한 4.321%를 기록했고, 30년물은 2.7bp 내린 4.771%를 나타냈다.
통화 정책 결정에 민감한 2년물 금리는 0.6bp 하락한 3.826%를 가리켰다.
달러화 [사진=블룸버그]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날 발표된 경제 지표들은 최근 시장을 뒤흔든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 우려를 다소 잠재울 만한 내용이었다.
또한 3월 미국의 수입 물가는 보합에 머물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전월 대비 0.1% 내렸다. 수입 물가가 전월 대비 하락한 것은 6개월 만이며, 낮은 유가가 주된 원인으로 풀이됐다. 경제 지표는 예상보다 양호했으나, 국채 시장은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로이터 통신이 채권 전문가들을 상대로 실시한 최근 리서치에서 응답자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예측 불허 관세 정책으로 미 경제 둔화가 현실화할 경우, 연준이 금리 인하에 나설 것으로 봤다. 이에 따라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6월 말에는 4.21%, 1년 후에는 4.14%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예측했다.
지난주 급락했던 미 달러화는 이날 일본 엔, 유로 대비 반등했다.
뉴욕 시장 후반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의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화 지수는 이날 전장보다 0.53% 상승한 100.17을 가리켰다. 달러화 지수는 지난주 3% 넘게 하락했었다.
UBS의 외환 전략가인 바실리 세레브리아코프는 "최근 미 달러화 움직임은 금리 차 같은 전통적인 단기 요인보다는 자산 흐름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며, "시장이 미국 예외주의(미국 경제만 유독 강하다는 믿음)를 다시 생각하게 된 것 같다"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미 경제 둔화 우려, 전반적인 정책 불확실성, 유럽에 대한 투자 심리 개선 등 다양한 요인들이 미국에서 자금을 이탈하게 만들고 있다"고 덧붙였다.
유로/달러 환율은 이날 1.127달러로 전장 대비 0.7% 하락했다. 지난 주말에는 1.1473달러까지 오르며 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달러/엔은 0.12% 오른 143.16엔을 기록했다. 다만, 지난주 기록한 6개월래 최저치인 142.05엔에서 멀지 않은 수준이다. 달러/스위스프랑도 0.91% 상승한 0.822프랑에 거래됐다. 달러를 둘러싼 투자 심리가 약화하며 지난주 달러는 스위스프랑 대비 1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바 있다.
koinwon@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