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차 야간 탑승 등 순찰활동 다양화
경찰, 전문 소매치기범 2명 지난달 구속
지난 2월 24일 서울지하철 4호선 명동역 에스컬레이터에서 소매치기범이 피해자 가방에서 현금 30만원을 빼내고 있다.(사진= 서울경찰청) |
서울경찰청 지하철경찰대는 16일 다양한 예방 활동과 절도 수법에 대한 집중 수사로 지난해 부축빼기(술에 취한 사람을 부축해주는 척하면서 돈을 훔치는 범죄)와 소매치기가 크게 감소했다고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2023년 지하철에서 390건 발생한 부축빼기는 지난해 3분의 1 수준(109건)으로 감소했다. 소매치기 역시 재작년 49건에서 1년 뒤 39건으로 10건이 줄었다. 2023년부터 지난해까지 경찰은 부축빼기범 40명과 소매치기범 13명, 장물범 19명 등 총 72명을 검거했다.
경찰은 다양한 예방활동과 데이터 활용이 지하철 내 절도를 줄였다고 분석했다. 서울청 지하철경찰대는 지난해 9월부터 야간 전동차에 탑승해 내부를 순찰하고 있다. 전동차 탑승 전 6개월과 이후를 비교할 때 112신고는 15% 감소했다. 아울러 경찰은 지난해 9월부터 지난 2월까지 6개월간 주취자 보호와 노약자·외국인 봉사활동 등 합동 순찰 활동을 강화했다.
이 같은 방법으로 경찰은 지난달 5일에도 지하철에서 피해자의 가방에 든 현금 30만원을 훔친 남성 B(52)씨를 검거했다. 절도 등 전과 12범인 B씨는 A씨처럼 출소 후 6개월 만에 명동역 일대에서 소매치기로 식비와 숙박비를 충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확보하기 위해 주·야간 탑승 순찰과 지하철 보안관 합동 순찰 등 범죄예방활동과 함께 검거 활동도 계속 실시하겠다”고 덧붙였다.
전동차 탑승 순찰 시행 전·후 112신고 통계(사진=서울경찰청)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