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금)

트럼프 정부, 대학 압박은 보수 진영 불만이 배경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반유대주의 온상" 내세우나

실제론 진보 이념 타파 노려

민주당 지지권 대학 10곳 주 표적

[케임브리지=AP/뉴시스]미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 있는 하버드대 캠퍼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정부가 엘리트대에 대한 지원 삭감을 압박하고 있다. 2025.4.16.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강영진 기자 = 미 하버드대의 연방 정부 압박 거부 선언을 계기로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대학들을 압박하는 이유가 주목되고 있다.

이에 대해 미 뉴욕타임스(NYT)는 15일(현지시각) 트럼프와 일부 측근들이 소수 엘리트 대학들이 반유대주의와 진보 이념 세뇌의 온상이라고 주장하면서 대학을 개편하려 한다고 지적했다.

NYT는 수십 년 동안 지속된 연방 재정 지원을 삭감이 미국 사회 전체에 역효과를 낳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트럼프 정부는 삭감의 이유로 주로 반유대주의를 용인한다는 주장을 내세운다.

그러나 표적이 된 학교의 선정과 일부 요구 사항은 그 주장과 일치하지 않는 일이 잦다.

예컨대 노스웨스턴대는 컬럼비아대에 연방정부가 요구한 것과 유사한 수준의 반유대주의 대응조치를 발표했으나 제재를 받았다.

지원 중단 대상 대학들


현재까지 재정 삭감이 통보되거나 삭감 위기에 처해있다는 통보를 받은 대학은 7곳이다.

하버드 대학교는 약 90억 달러의 연방 지원금이 걸려 있으며, 트럼프 정부의 요구를 공개 거부한 뒤 22억 달러 이상이 이미 삭감됐다.

브라운대는 5억1000만 달러 손실이 예상된다.

컬럼비아대는 4억 달러의 보조금과 계약이 삭감된 뒤 협상 재개를 위해 정부의 요구를 받아들였다.

코넬대는 최소 10억 달러 삭감 대상이다.

노스웨스턴대는 7억9000만 달러가 삭감된다는 통보를 받았다.

펜실베이니아대는 1억7500만 달러 지원금이 보류됐다.

프린스턴대는 “수십 건”의 보조금이 이미 중단됐으며 백악관이 2억1000만 달러가 위태롭다고 밝혔다.

그밖에 수십 개의 다른 대학들이 교육부 민권국의 조사를 받고 있으며, 일부 연방 재정 지원이 위태로운 상태다.

트럼프 정부의 반유대주의 전담 태스크포스가 특별 감시 대상으로 지목한 대학은 컬럼비아대, 조지워싱턴대, 하버드대, 존스홉킨스대, 뉴욕대, 노스웨스턴대, 버클리대, UCLA, 미네소타대, USC 등 10곳이다.

이들 대학은 전부 지난해 대선에서 민주당에 표를 던진 주에 속해 있다.

정부의 비난 내용과 실제


트럼프 정부는 이들 학교가 반유대주의를 묵인하거나 부추긴다고 주장해왔다.

그러나 실제로는 엘리트 대학들의 소수자 우대 입학정책, 높은 등록금, 진보적 교수진, DEI 프로그램을 비판해온 보수 세력의 불만이 배경이 되고 있다.

보수 인사들은 자신들의 입장이 대학에서 소외당했으며 대학들이 이른바 '각성(wokeness)'의 온상이 되었다고 본다.

중단 또는 보류된 지원금 규모


현재까지 삭감되었거나 삭감되기 직전의 지원금이 총 120억 달러(약 17조1660억 원) 이상이다. 대부분은 하버드 및 그 산하 병원들과 관련된 지원금이다.

각 대학은 구체적으로 어떤 프로그램이 위험에 처했는지 자세히 밝히지 않았으나 펜실베이니아대의 경우 최소 7개 단과대학 소속 연구자들이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

대학들의 대응


대학들은 대체로 우려와 실망을 표명하는 성명을 내는 수준에 그쳤다.

다만 컬럼비아대가 지난달 정부와 협상을 위해 정부 요구에 응하기로 했다.

그러나 하버드대가 14일 정부 요구 거부를 선언한데 이어 컬럼비아대도 대학 독립을 지킬 것이라고 선언해 흐름이 바뀌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yjkang1@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뉴시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