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가스공사·알래스가스라인개발 실무자 화상회의
현지 출장시 에너지자원실장·가스공사 실무진만 갈 듯
사업 참여보다는 LNG 수입 확대론 고조
미국 알래스카 LNG 기스관 사업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심 사업인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에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등 고위직 인사가 참여 의사를 밝히며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실무진에선 오히려 신중론이 커지고 있다.
초기 투자비만 440억달러(약 64조 원)에 달하고 그동안 수차례 부침을 겪은 사업이다보니 꼼꼼하게 따져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만약 투자 실패시 책임은 한 대행 등 최고위층이 아닌 실무자가 감당해야한다는 것도 이들이 후폭풍을 두려워하는 이유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가스공사와 알래스카가스라인개발(AGDC) 실무자가 전날 처음으로 화상회의를 진행했다. 이 회의에는 산업부 관계자는 한 명도 참석하지 않는 가운데 양쪽 참석자들의 소개와 현지 출장 일정에 대해 간단하게 논의한 후 마무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한 대행은 14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총리서울공관에서 주재한 경제안보전략TF 회의에서 “하루 이틀 사이에 알래스카 LNG와 관련해서 한미 간 화상 회의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고위직 인사가 직접 화상회의에 참여하는 것처럼 언급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역시 15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더불어민주당 김정호 의원이 ‘미국 알래스카 LNG 개발 참여가 대미 관세 협상의 지렛대가 될 수 있느냐’는 질의에 “가능하다”고 답했다.
최 부총리는 “미국 측이 어떤 계획을 갖고 있고 무엇을 희망하는지는 아직 구체적이지 않다”며 “지금은 미국 당국자들과 LNG, 조선, 무역 균형과 관련해 관심 있는 부분을 어떤 틀에서 협상할지 논의해야 하는 단계”라고 설명했다.
미국과의 협상에서 알래스카를 카드로 쓰려는 최고위급과 달리 실무자급에선 대선을 앞둔 대행체제 정부에서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에 업계에서는 알래스카 프로젝트 참여보다는 알래스카산 LNG수입 방안이 더 현실적이라고 보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역대 정부마다 최고위층이 해외자원개발 등으로 에너지관련 정책을 밀어부쳐놓고 나중에 감사받고 조사받는 등 법정소송까지 책임지는 사람은 실무자”라면서 “결국 위험부담이 큰 사업에 대해서는 신중하게 결정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또 오는 6월 들어설 새 정부에도 대형프로젝트 참여는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정권 교체 시 전 정권에서 결정한 사항에 대해 되돌리기 위해서는 더 큰 것을 내줘야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미국은 40여 년 전부터 한국에 알래스카 투자 요청을 해왔다. 하지만 이 사업을 통해 LNG를 주요 소비처와 가까운 남부까지 보내려면 길이 1300㎞의 가스관을 놓아야 한다. 이 길은 1년 내내 땅이 얼어있는 영구 동토층이다. 1년 내내 땅이 얼어있는 환경에서 일할 인력을 수급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