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개미, 3배 레버리지에 빠지다]②
한국 투자자의 3배 레버리지 상품 보유 현황/그래픽=최헌정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바닥 찍고 올라왔는데 다시 지하로 내려가려고 하네요." (레버리지 셰어즈 테슬라 3배 ETP 투자자, 수익률 -60%)
최근 서학개미 사이에선 영국 상품이 인기다. 국내와 달리 규제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영국에 미국 개별 종목 3배 레버리지 투자를 할 수 있는 상장지수상품(ETP)이 대거 상장돼 있어서다. 입소문에 개인 투자자가 하나둘 매수하며 국내 보유금액은 4000억원을 훌쩍 넘겼다.
영국 런던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주요 3배 레버리지 ETP 상품 10개의 한국 투자자 보유 잔고는 지난 7일 기준 4900억여원 수준이다. 미국 상장 개별 종목의 3배 레버리지 상품을 다수 판매하는 레버리지 셰어즈나 그래닛 셰어즈의 다른 상품까지 합치면 전체 보유 규모는 50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같은 레버리지 상품은 개별 종목의 일일 수익률을 3배로 추종해 변동성이 크다. 한국 투자자가 200억여원 보유한 '레버리지 셰어즈 3x 팔란티어'는 최근 한달간 주가가 279.57% 올랐다. 기초자산인 팔란티어 테크놀로지가 63.08% 오르면서 216.49%의 초과 수익률을 거둔 것이다.
전문가들은 레버리지 상품이 장기 투자에 적합하지 않다고 조언한다. 기간 수익률이 아닌 일일 수익률을 추종해 기초자산의 주가 등락이 심하면 손실이 커져서다. 최근 한달간 엔비디아 주가는 1.41% 내렸지만, 레버리지 셰어즈의 3x 엔비디아는 18.9% 내렸고, -3x 엔비디아는 26.96% 하락했다.
/사진제공=게티이미지뱅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운용 보수도 비싼 편이다. 한국 투자자가 360억여원 보유한 그래닛 셰어즈의 3x 롱 테슬라 데일리의 연 운용보수는 1일 0.0197%로, 연으로 환산하면 7.1905%다. 같은 자산운용사라도 상품에 따라 보수가 다른데, 그래닛 셰어즈의 코인베이스 추종 3배 레버리지 상품은 연보수가 18.9508%에 달했다.
또 다른 숨겨진 비용도 있다. 국내 증권사에서 원화를 외화로 환전할 때 드는 수수료에 더해 영국 주식을 거래할 때는 거래수수료와 인지세, 거래소 부과금 등 현지 제세금이 부과된다. 수수료율은 증권사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국내 주식을 거래할 때보다 비싼 편이고 거래당 최소수수료가 부과되기도 한다.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는 "코스피 지수가 지난 30년간 2.5배 오른 만큼 개인 투자자가 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것은 이해할 수 있는 현상"이라면서도 "레버리지 상품은 장기든 단기든 대출을 받아서 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위험하다. 짧게 투자하는 것은 몰라도 장기 투자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라고 했다.
박수현 기자 literature1028@mt.co.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