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영주 중기부 장관, AI업계와 전략회의
AI 스타트업 지원·스톡옵션 개선 등 요청
[헤럴드경제=유재훈 기자]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20일 서울 강남구 팁스타운 S1에서 오영주 장관과 국내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제조 AI기업, 전문가 등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AI 활용·확산을 위한 인력정책 방향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AI 핵심인재 확보가 곧 기술 경쟁력으로 이어지는 가운데, 글로벌 기술 기업들의 AI 인재 확보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고, 글로벌 빅테크 기업은 재직자의 AI 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제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에서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범정부 정책을 논의했고, 중기부는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육성을 통한 AI 활용·확산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이날 회의는 그 연장선으로, AI 스타트업 및 제조 AI기업 등에 우수 인재 양성·공급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어진 토론에서 참석자들은 AI 프로젝트 기반 학습 도입 등 벤처·스타트업과 대학의 산학협력 강화, 재직자 AI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우수인재 채용 및 근속 유도를 위한 정부지원 방안 등 다양한 정책과제들을 논의했다.
서지호 클레온 최고운영책임자는 “AI 인재 순환 프로그램 및 공동 R&D 프로젝트 등을 통한 대기업-스타트업 인재 교류 활성화, 스톡옵션 지원 확대를 통한 스타트업의 보상체계 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유철 LG AI 연구원 전략부문장은 “AI 인재양성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구성원들이 지속적으로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성장환경의 조성”이라며 “프로젝트 중심의 실무교육을 통해 재직자 역량을 강화하는 방안 등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오영주 장관은 “AI 국가대표 스타트업 육성 및 AI 기술과 시장 선점을 위해서는 우수한 AI 인재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라며, “우수한 인재가 스타트업, 제조 AI 기업과 함께 성장하고 유니콘 기업이 탄생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