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중앙회, 2024년도 실적 관련 기자간담회
저축은행 M&A 규제 완화에는 일단 '긍정적'… "매물 문의 많아… 지금보다 더 열리길"
적자는 지난해 상반기에 끝나… 흑자 전환 시점, 올해 상반기 가늠할 수 있을 듯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 회장이 21일 서울 마포구 신용보증재단빌딩에서 '2024년 저축은행 실적' 관련 기자간담회를 열었다./사진=이창섭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저축은행중앙회가 수도권-지방 양극화의 대안으로 비수도권 영업구역 통합을 꺼내 들었다. 수도권에 대출 85%가 쏠리는 상황에서 나머지 15%를 4개의 지방 영업구역이 나눠 갖는 게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또 중앙회는 금융위가 발표한 M&A 규제 완화에 긍정적이었다. 다만 M&A 규제가 지금보다 더 열려야 한다는 점은 강조했다. 실제로 저축은행 매각 물건을 문의하는 연락이 오는 등 시장 수요는 충분한 상황이다.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 회장은 21일 서울 마포구 신용보증재단빌딩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지방을 활성화하기 위해 저축은행의 비수도권 4개 영업구역을 다 묶는 게 어떻겠냐고 금융위원회에 제안했다"고 밝혔다.
현재 저축은행 영업구역은 수도권으로 서울과 경기·인천, 비수도권으론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강원, 광주·전라·제주, 대전·세종·충청 등 6개로 나뉜다. 서울과 경기·인천을 제외한 나머지 지방의 4개 권역을 합치자는 게 오 회장의 주장이다.
오 회장은 "인구 비율로만 보면 수도권과 지방의 여신 비율이 5 대 5가 돼야 하는데 85% 이상이 수도권에 집중돼 쏠림이 너무 심하다"며 "나머지 4개 지방 권역이 합쳐봐야 15%를 가져가는데 지역을 이렇게 나누는 게 무슨 의미가 있냐"고 말했다.
금융위는 저축은행 M&A 규제도 추가로 완화했다. M&A 대상에 포함되는 범위를 넓혔고, 수도권 위주의 취약 저축은행이 다수 들어가게 됐다. 금융당국이 수도권 저축은행의 M&A 길을 터준 건 2017년 이후 8년 만이다.
저축은행중앙회의 2024년 실적 관련 기자간담회./사진제공=저축은행중앙회.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오 회장은 "M&A 규제 완화는 어느 정도 만족한다"면서도 추후 완전 자율화를 더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당국에서 아직 저축은행 대형화와 특정 저축은행에 과도한 쏠림은 경계하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저축은행들은 3974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적자 폭이 지난해보다 축소하긴 했지만 올해도 영업 환경이 좋지 않다. 지난해 저축은행 연체율은 8.52%로 2015년 12월 말의 9.5% 이후 약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저축은행 적자 행진은 지난해 상반기와 3분기에 이미 끝났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4분기에 손익분기점을 기록했지만 대손충당금을 더 쌓으라는 금융감독원 요구에 맞추느라 약 400억원 적자가 추가로 발생했다.
오 회장은 "마이너스 실적은 지난해 상반기 정도에 끝났지만 앞으로 플러스로 돌아설 것인지는 당분간 파악하기 어렵다"며 "올해 상반기까지는 상황을 지켜봐야 할 거 같고 부동산 시장이 좋아지지 않으면 충당금을 더 쌓을 수도 있고, 사업장을 매각하면서 매매손을 입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오 회장은 "가계대출 총량 규제를 받지만 당장 생계가 어려우신 서민이나 소상공인, 지방에 계신 신 파일러 등에게는 자금 공급을 계속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창섭 기자 thrivingfire21@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