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美대통령 취임이후
성평등·다양성 가치 위기 맞아
코번트리 위원장 역할 기대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130년 역사상 최초로 여성이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또 하나의 유리천장이 깨지는 역사적 사건이 아닐 수 없다. 스포츠에서 여성의 참여 확대는 남녀평등 실현의 한 척도이다. 고대 올림피아드는 철저하게 남성들만의 축제였고 이를 훔쳐보는 것만으로도 목숨을 내놓아야 했던 여성에겐 금단의 벽이었다.
근대로 들어와 스포츠가 생활의 일부가 되었지만 이에도 소외된 자가 있었으니 바로 여성이다. 올림픽의 아버지이자 계몽주의자였던 쿠베르탱 남작은 올림픽에서 여성의 참여를 철저하게 배제했고 여성의 스포츠 참여는 투쟁을 통해서 쟁취되어 왔다. 힘겨운 투쟁을 통해서 처음으로 1900년 파리올림픽에 22명의 여성 선수가 경기장에 모습을 드러내며 새 역사를 썼다.
전체 선수의 2%로 출발한 여성 선수가 100년을 지나 지난해 2024 파리올림픽에서 50%로 성평등을 이룬 것은 놀라운 진보가 아닐 수 없다. 참가선수뿐 아니라 종목 수에서도 평등이 이루어졌고 올림픽 중계 방송에서도 남녀 경기가 균형을 이루었다. 이러한 대단한 성과는 선수와 종목에서 멈추지 않고 세계 스포츠의 지휘봉을 잡은 IOC 위원장으로까지 이어졌으니 스포츠에서 가장 두꺼웠던 유리천장이 진정으로 깨어졌음을 실감한다.
이러한 놀라운 성과를 이루어낸 데는 전 세계에 감동을 주고 영감의 원천이 된 위대한 여성 선수들이 있었다. 소아마비를 딛고 일어서서 올림픽에서 3개의 금메달을 딴 흑인 여성 윌마 루돌프가 있었고 무슬림 여성으로는 처음으로 금메달을 딴 나와 엘 무타와겔도 있었다. 여성의 인간으로서 평등한 권리뿐 아니라 흑인, 무슬림 등 인종과 종교를 초월한 다양성의 가치에 불을 붙인 위대한 선수들이다.
최초의 여성 IOC 위원장의 성평등과 다양성의 가치 수호라는 역할이 더 주목받을 수밖에 없는 것은 도널드 트럼프 2기의 도전 때문이다. 수 세기 동안 피와 땀으로 쌓아 올린 성평등과 다양성의 가치가 위협을 받고 있어 전 세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트럼프 미 대통령은 취임 당일에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프로그램을 폐지했고 각 분야에서 DE 업무를 담당하던 직원들을 해고했다. 이어 '인종차별' '성평등' '다문화' '소수자' 등 다양성과 형평성에 관련된 단어 사용을 연방 정부의 공식 문서나 웹사이트, 정책 지침에서 금지하도록 지침을 내려 세계를 경악게 했다.
박은하 전 주영국대사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