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26일(현지시각) 캐나다 온타리오주 윈저에서 자유당 선거 유세 일환으로 온타리오와 미시간을 잇는 앰배서더 브리지를 방문해 연설하고 있다. 윈저/로이터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대통령이 26일 “미국에서 제조되지 않은 모든 자동차에 3일부터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자,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캐나다를 향한 “직접적 공격”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캐나다 자동차 노동자들과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20억 캐나다 달러(2조540억원) 규모의 전략적 대응 기금 조성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다음달 28일 총선을 앞두고 온타리오주 앰배서더 브리지에서 선거 유세 중이던 카니 총리는 26일(현지시각) 미국의 자동차 관세 부과 발표에 대해 이는 캐나다 노동자들에 대한 “직접적 공격”이라고 비판했다. 앰배서더 브리지는 캐나다 온타리오주 윈저와 미국 미시간주를 잇는 다리로 미국과 캐나다 국경에 위치해 있다. 하루에 4억 캐나다달러(약4106억원) 상당의 물품이 무역거래되는 곳이다. 이 자리에서 카니 총리는 “우리는 노동자들을 보호하고, 회사를 보호하고, 국가를 보호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캐나다 공영방송(CBC), 에이피(AP) 통신 등이 보도했다.
캐나다는 수출액 기준으로 멕시코, 일본, 한국 다음으로 미국에 많은 자동차를 수출하는 국가다. 캐나다 전체 산업으로 봐도 자동차는 석유에 이어 두번째로 수출품으로, 12만5천명의 캐나다인이 자동차 회사에 직접 고용돼있고, 50만명이 관련 산업에 종사하고 있다. 특히 온타리오주, 그중에서도 윈저는 미국 자동차 회사인 포드와 스텔란티스 공장이 있는 캐나다 자동차 산업의 대표 도시로 미국 산업과 긴밀하게 엮여있다. 더그 포드 온타리오주 총리는 캐나다 자동차 산업 대부분이 속해있는 온타리오주에서 관세 부과가 이뤄질 경우 양국에 있는 자동차 공장이 모두 폐쇄될 것이라고 우려해왔다.
카니 총리는 이날 “우리 자동차 산업은 우리나라를 위해 존재했다. 그래서 불확실성이 큰 시기에 국가는 우리 자동차 노동자들을 위해 존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더 많은 자동차 부품을 국내에서 생산하고 생산 과정에서 국경을 넘는 빈도를 제한하기 위해 전면적으로 캐나다 제조 네트워크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새로운 세상에서는 이것이 이점이 된다.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위협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고 경제를 성장시킬 것”이라며 다음달 총선에서 자신이 총리가 된다면, 정부는 캐나다산 차량을 우선 구매하겠다고도 약속했다. 그러면서 “아시아에는 우리가 더 깊은 유대관계를 구축할 수 있는 파트너가 있다”면서 “중국은 포함되지 않는다”고 중국과의 거래에는 선을 그었다.
지난달 4일(현지시각) 캐나다 온타리오주 윈저에 있는 스텔란티스 크라이슬러 윈저 공장 사진. 윈저/로이터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카니 총리는 또 보복 관세를 부과하기 전 미국의 행정명령 세부사항을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세를 마친 뒤 27일 오타와로 돌아가 미국 관계 특별 내각 위원회를 주재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의 관세 정책이 점차 확대될 것이라는 우려는 여전히 남아있다. 이날 해리슨 필즈 백악관 수석 부대변인은 이날 엑스(X)에서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기준을 준수하는 자동차 부품은 상무장관이 미 세관국경보호국과 협의해 미국 외 부품에 관세를 적용하는 절차를 마련할 때까지 무관세 상태를 유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자동차 산업 관세도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기준을 준수할 경우는 당분간 제외된다고 했으나 외국산 부품 함량에 따라 관세를 부과한다는 입장이다.
올해 2~3월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산 제품에 대해 25% 무역 관세 부과 정책을 발표했다가 미국 자동차 산업계가 가격 인상 압박 우려 등의 민원을 제기하자 관세 부과를 다음달 2일까지 유예한 상태다. 캐나다산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해서는 25% 관세를 이달 중순부터 부과하고 있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26일(현지시각) 캐나다 온타리오주 키치너에서 열린 자유당 선거 유세에서 발언하고 있다. 키치너/로이터 연합뉴스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26일(현지시각) 캐나다 온타리오주 키치너에서 열린 자유당 선거 유세에서 발언하고 있다. 키치너/로이터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캔디스 레잉 캐나다 상공회의소 사장 겸 최고경영자(CEO)도 우려를 표했다. 그는 “국경 양쪽에서 수만개의 일자리를 없애는 것이 북미 자동차 산업 리더십을 포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업체들은 이곳이 아닌 다른 곳에서 공장을 건설하고 노동자들을 고용하도록 장려하게 될 것이다. 공장과 노동자뿐 아니라 세대를 거쳐 영원히 위험에 노출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최우리 기자 ecowoori@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실시간 뉴스, ‘한겨레 텔레그램 뉴스봇’과 함께!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