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01 (화)

멕시코·일본 “우린 좀 예외로 해 달라” 설득···각국 트럼프 자동차 관세 ‘비상 대응’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 27일 일본 요코하마항에 수출용 신차들이 주차돼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수입 자동차 25% 관세 적용으로 큰 타격이 예상되는 나라들이 비상 대응에 나섰다. 멕시코는 일부 품목에 대한 관세를 우대해달라고 미국에 설득했고, 일본도 예외 적용을 요구했다. 캐나다는 강경 대응을 시사했다.

미국 워싱턴을 방문한 마르셀로 에브라르드 멕시코 경제장관은 27일(현지시간)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의 정례 기자회견에 화상으로 참석해 미국 측과 멕시코산 차량에 ‘관세 우대 조치’를 적용하는 안을 협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에브라르드 장관은 “멕시코에서 생산되는 차량에 미국산 부품 사용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을 미 당국이 알고 있으며, 그 사용 정도에 따라 관세율은 큰 차이를 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멕시코는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을 활용해 차량과 자동차 부품 관세 적용을 최소화하려 하고 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USMCA를 적용받는 자동차 부품에는 관세 부과를 일단 유예하기로 했다.

에브라르드 장관은 멕시코에서 생산하는 자동차 부품도 관세 면제가 될 수 있도록 협상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과 여섯 차례 만났다고 덧붙였다.

같은 자리에서 셰인바움 대통령은 “미국 정부에서 발표한 것처럼 USMCA를 적용받는 자동차 부품에 대해선 당분간 무관세가 유지된다”며 “우리는 협상을 통해 새로운 조건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알려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음 달 2일쯤 미국의 자동차 관세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 전략을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같은 날 멕시코 중앙은행은 트럼프 행정부발 관세 부과에 따른 경기 침체를 우려해 기준금리를 9.50%에서 9.00%로 내렸다.

미국과 지속해서 접촉하며 회유하고 있는 멕시코와 달리 캐나다는 미국을 강도 높게 비난했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미국에는 최대한의 영향을 미치고 캐나다에는 최소한의 영향을 주는 보복 조치로 미국의 관세에 맞서 싸울 것”이라며 “전략적 경제 자율권을 확립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깊은 경제 통합과 긴밀한 안보 및 군사 협력을 바탕으로 했던 미국과 오래된 관계는 이제 끝났다”며 “미국이 더는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가 아니라는 점은 분명하다. 포괄적인 협상을 통해 일부 신뢰를 회복할 수 있을지도 모르지만, 과거로 되돌아갈 수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카니 총리는 이틀 안에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해 담판을 낼 계획이다. 앞서 캐나다는 유럽연합(EU)과 협력해 대미 보복 조치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도 관세를 예외로 적용해달라며 미 정부를 설득하고 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전날 이와야 다케시 외무상에게 “우리나라(일본)가 (관세 적용에서) 제외되도록 끈질기게 협의해 달라”고 지시했다.

이시바 총리는 27일 의회 연설에서 관세 관련 질문을 받고 “모든 선택지가 당연히 검토 대상”이라며 “국익에 가장 도움이 되는 것을 생각해야 하며 (미국이) 25% 관세를 일본에 적용하지 않도록 강력히 요청하고 있다”고 짧게 답했다.

수입 자동차 25% 관세 부과 방침이 한국과 일본에 큰 타격을 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로이터통신은 자동차 산업이 전후 한국과 일본의 경제 부흥에 특별한 역할을 했다며 미국의 관세 부과가 두 나라의 노동시장과 경제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로이터는 트럼프 대통령이 수입 자동차 관세 부과를 확정한 지난 26일 현대차와 기아, 도요타, 혼다 등 완성차 기업 시가총액이 총 165억달러(약 24조2000억원)어치 사라졌다고 전했다.

윤기은 기자 energyeun@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주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