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9일 오후 제주시 삼도일동 거리에 왕벚꽃 축제를 보기 위해 시민과 관광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봄 행락철을 맞아 전국 곳곳에서 지역 축제가 예고된 가운데 ‘떴다방식’ 축제 전문 먹거리 상인들의 바가지 요금 문제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31일 제주특별자치도 등에 따르면 지난 28~30일 사흘 간 제주 전농로 일대에서 제18회 전농로 왕벚꽃 축제가 열렸다. 축제 현장을 찾은 제주 건입동 주민 A씨(28)는 지난 28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순대 6조각에 2만5000원, 오케이’라는 글과 함께 순대볶음 사진을 올렸다. 함께 갈무리된 메시지엔 “오 마이 갓, 당했어. 이를 어쩌냐”는 댓글이 달렸다.
A씨는 중앙일보에 “가격에 비해 양이 너무 적어 순대를 세어 본 것”이라며 “다른 상인들과 손님들에게 민폐를 끼치고 싶지 않아서 현장에서 항의하지 않았지만, 너무 아쉬워 내년엔 오지 말아야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A씨의 게시글은 바가지 음식에 ‘나도 당했다’는 인증으로 이어졌다. 3만원짜리 꼼장어, 1만원짜리 어묵탕이 값에 비해 양과 질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불만이 나왔다.
김경석 전농로 벚꽃축제 추진위원장은 “28일 발생한 일로 29일 오전부터 가격에 맞게끔 정량 판매하거나 가격을 낮춰달라고 요구했다”며 “해당 부스에 ‘당신들 때문에 성실히 판매하는 다른 가게도 피해를 보고 있으니 신경 써달라’고 요구했다”고 말했다.
지난 28일 SNS에 제주 건입동 주민 A씨(28)가 올린 전농로 벚꽃축제 먹거리 부스에서 판매한 순대볶음. A씨는 ″제주 토박이라 고향 축제를 깎아내릴 생각은 없지만, 해도 너무했다는 생각에 인터넷에 올렸다″고 말했다. 사진 온라인 갈무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일일 최대 80만명이 찾는 지난해 서울 여의도 봄꽃 축제도 바가지 음식 등 불법행위 노점상이 횡행했다. 바가지 요금, 보행로 점유 등 과태료 처분 건수만 124건에 달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축제 장소에 노점 진입 자체를 막긴 어려워 사후 조처를 하고 있다”며 “과태료 부과 건도 모두 바가지 요금은 아니다”라고 했다.
지난 2023년 6월 8~11일 경기도 수원에서 열린 화성행궁 2023 환경사랑축제에서 지역 상인 바가지에 당했다고 주장하는 블로거가 게시한 차림표와 페트병 소주 사진. 사진 네이버 블로그 캡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상황이 이렇자 행정안전부는 지난달 28일 바가지요금 등 불공정 상행위를 근절하는 ‘지역축제 물가안정 관리 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축제 준비 단계부터 합리적인 가격이 책정될 수 있도록 축제 주관 부서와 긴밀히 협조하고 가격표 게시, 적정가액 책정 여부 등을 지자체와 협업해 집중 점검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달부터 다음 달까지 전국에서 개최되는 지자체 축제는 모두 97건으로 이중 지자체 특산물 활용 먹거리 축제만 18건이다.
최철 숙명여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는 “상설 점포가 아니라 특정 기간에만 판매 행위가 이뤄지는 경우 가격을 엄격하게 통제하기 어렵다”며 “시장 가격에 비해 폭리를 취하거나 위생 문제 때문에 식중독 등 공공 안전을 저해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전 신고를 받아 통제하고 단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