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04 (금)

72시간 넘었다‥"전세계적 동참 필요"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앵커 ▶

지진 발생 나흘째인 미얀마의 구조 작업은 더디기만 합니다.

골든타임이 지나고 있는데 구조 지원은, 미얀마 군사정권이 장악한 지역에만 편중되고 있다는 우려도 나오는데요.

국제보건기구는 전 세계의 지원을 요청했습니다.

김희웅 기자입니다.

◀ 리포트 ▶

파괴되서 무너져 내린 건물 위에서 어린이 한 명을 찾았습니다.

포크레인 버킷에 실어서 땅에 내립니다.

현지시각으로 오늘 새벽 6시쯤 미얀마 만달레이.

지진이 나고 예순다섯 시간이 지나섭니다.

잔해 속에서 발견된 임신부도 로프로 이동해 구급차에 실렸습니다.

붕괴된 건물들 아래에 만들어진 틈 속에는 아직 사람이 있습니다.

플래쉬 불빛과 함께 생존이 찾아왔습니다.

[미얀마 구조대]
"천천히, 천천히. 그쪽으로 갈게요. 조금만, 조금만 더 버텨보세요"

하지만 아직 살아있는지 어디에 있는지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생존을 위한 골든타임이라는 일흔두 시간이 지나가는데.

엄마는 딸의 이름을 터뜨리며 바닥에 주저앉습니다.

"플로이, 플로이. 내 딸 플로이. 엄마가 여기 있는데‥."

미얀마 정부가 밝힌 공식 사망자는 이틀째 1700여 명에 머물러 있습니다.

죽은 사람이 이미 2천 명이 넘었다는 보도도 나왔지만, 정부 집계는 늦고 신뢰도도 떨어집니다.

[사이한린헝/유니세프]
"어린이들하고 가족들 여럿이 실종됐고 심각한 트라우마를 겪고 있습니다. 특히 어린이들에 대한 신속한 지원이 절실합니다."

피해 구제보다는 정권 안보에 치중하면서, 정보를 통제하고 있다는 비판 속에도 미얀마 군사정권은 반군이 장악한 지역을 폭격했습니다.

구호품이 속속 도착하고 있지만 피해지역에 제대로 전달이 될지, 과거 대규모 자연재해 때도 미얀마 군정은 구호품을 빼돌려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기도 했습니다.

[솟 쏘/미얀마 망명자 (2008년 태국)]
"미얀마 방송은 군부가 열심히 일하는 모습만을 보여줍니다. 국민들을 속이려 하는 겁니다. '쇼'하는 겁니다"

세계보건기구는 이번 사태를 긴급대응체계 최고 등급인 3급 비상사태로 분류하고 전 세계적 동참을 요청했습니다.

중국이 구조대 90여 명과 2백억 원 규모의 구호품을 보냈고, 러시아도 긴급 지원에 나섰지만, 정작 최대 원조국인 미국은 아직 아무것도 보내지 않았습니다.

MBC 뉴스 김희웅입니다.

영상편집 : 이정섭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영상편집 : 이정섭 김희웅 기자(hwoong@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