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한반도 전문가 7人 연쇄 인터뷰
美, 주한미군 패트리엇 일부 중동 순환 배치
사드·천궁 등과 더불어 연합 대북 방공망 핵심 구성
트럼프 정부 출범 후 ‘역할 재조정’ 시사 속 이뤄져
“北위협 증강 속 중대한 전개… 신중히 검토해야“
“우선순위 일시 조정, 韓에 대한 신호 아니다” 반론도
지대공 미사일인 패트리엇은 요격 고도가 15~40㎞로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40~150㎞), 천궁-Ⅱ(15~20㎞) 등과 더불어 한미 연합 방공망을 구성하는 핵심 체계다. 미군은 현재 PAC-2·PAC-3 등을 혼합한 12개 포대를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각 포대는 오산, 평택 등에 분산 배치돼 있다. 군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미군 기지 경계용 성격이 강하지만 핵심 요격 체계를 한반도 밖으로 순환 배치한 건 전례가 드문 일”이다. NBC는 지난달 30일 3명의 정부 관리를 인용해 “헤그세스 장관이 아시아에서 중동으로 적어도 2개의 패트리엇 포대를 이동시키는 것을 승인했다”고 했다. 이 시기 미 공군의 전술 수송기인 ‘보잉 C-17 글로브마스터 III’ 15대 이상이 오산 공군기지에 내렸다가 바레인으로 향한 항적(航跡) 등이 포착돼 이런 관측에 힘이 실렸다. 군사 전문가들 사이에선 경북 성주의 사드의 일부 재배치 가능성까지 거론됐지만 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그래픽=김현국 |
브루스 클링너 헤리티지재단 아시아연구센터 선임연구원은 “북한의 미사일 위협에 대한 동맹의 방어 능력을 감소시키는 것이고 인도·태평양을 우선시하겠다는 트럼프 정부 공약과도 상충되기 때문에 중요한 전개”라고 했다. 그는 “북한은 남한을 공격할 수 있는 단거리, 중거리 미사일 부대를 대폭 증강시켰다”며 “여기에는 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는 미사일뿐만 아니라 기동 가능한 탄두를 탑재한 극초음속 미사일도 포함된다”고 했다. 북한의 핵·미사일 폭주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주한 미군의 ‘유연성’과 일부 자산의 한반도 밖 전개가 북한 등에 잘못된 신호를 줄 수도 있다는 얘기다. 패트릭 크로닌 허드슨연구소 아시아·태평양 안보 석좌는 “미군 자산은 특정 지역에 영구적으로 고정돼 있지 않고, 전략적 요구에 따라 가장 긴급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면서도 “한미 동맹의 경우 재배치 결정은 연합사령부와 고위 정책 입안자들 사이에서 철저하게 조율돼야 한다. 동맹이 북한의 공격을 억제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확신하지만, 아시아 지역의 군사적 균형이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했다.
반면 브루스 베넷 랜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국방부는 후티와의 분쟁이 조만간 끝날 것 같지 않다는 것을 현명하게 인식하고 있다”며 “평시에 여러 전장에서 동시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충분한 군사력을 구축하지 못했기 때문에 세계 어딘가에 배치돼 있는 패트리엇을 중동으로 이동시킬 수밖에 없다. 들리는 것만큼 큰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했다. 시드니 사일러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 한국석좌 고문은 “한반도 미사일 방어가 더 시급한 문제지만, 이것이 한국에 대한 어떤 신호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며 “그곳(중동)의 위협이 충분히 심각하고 대한민국 방위에 수반되는 위험이 관리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을 것”이라고 했다. 데이비드 맥스웰 민주주의수호재단(FDD) 선임연구원은 “패트리엇 같은 시스템은 전 세계적으로 수요가 많아 국방부는 이를 어디에 배치할지 어려움을 겪는다”며 “전략적 자원의 우선순위를 재조정하는 것일 뿐이지 한국을 지키는 미국의 의지가 약해진다고 볼 일은 아니다”라고 했다.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이 지난 2월 국방부에 배포한 ‘잠정 전략 지침’에는 미국은 중국의 대만 침공 저지, 본토 방어 등을 우선으로 하고 동맹이 북한·러시아 등에 대한 억제를 주도한다는 내용이 담겨 논란이 됐다. 빅터 차 CSIS 한국석좌는 “특정 사례에 대해 말하기 어렵다”면서도 “한국의 안보 기획자들은 트럼프 정부가 한반도에만 국한되지 않고 글로벌 전략의 일환으로 한국을 바라볼 것이라는 가정하에 (군을) 운영할 필요가 점점 더 커질 것으로 생각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미국이 중국의 위협에 더 잘 대처할 수 있도록 (군을) 재편성하고 있고, 한국군이 강력하고 유능하기 때문에 패트리엇 같은 추가 자원을 한국이 자체적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도 깔려있다”고 했다.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장관이 지난달 21일 워싱턴 DC에서 기자들과 만나 대화를 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워싱턴=김은중 특파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