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이슈 취업과 일자리

美 3월 고용 '깜짝 증가'…트럼프 관세 우려에도 "완전고용 가능성"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사진=픽사베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고용시장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따른 경기둔화 우려에도 불구하고 예상을 뛰어넘는 회복세를 나타냈다. 다만 실업률이 두 달 연속 오르는 등 시장 내 불안 요소도 뒤따랐다.

미 노동부는 4일(현지시간) 발표한 '3월 고용동향 보고서'에서 비농업 부문 고용이 전달보다 22만8000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다우존스가 집계한 시장 예상치 14만명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전달 고용 증가 폭이 11만7000명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2배 가까이 고용이 늘었다.

보건의료와 사회복지, 운송·물류 부문이 고용 증가를 이끌었다. 의료 서비스 분야에서 일자리 5만4000개가 새로 생겼고 사회지원 부문에선 2만4000개, 운송·창고업에선 2만3000개가 증가했다.

연방정부 고용은 지난 2월 1만1000명 줄었던 데 이어 3월에도 4000명이 줄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최고경영자)가 특별공무원으로 수장을 맡고 있는 정부효율부(DOGE) 주도의 공공부문 인력 구조조정 정책 효과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3월 고용 수치가 기대를 넘어서는 수치를 보인 것과 별도로 실업률은 오름세를 이어갔다. 3월 실업률은 4.2%로 2월보다 0.1%포인트 상승했다. 올 1월 4.0%, 2월 4.1%, 3월 4.2%로 두 달 연속 실업률이 올랐다. 3월 시장 예상치였던 4.1%보다도 높은 수치다. 전문가들은 노동시장 불균형이 확대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3월 실업률은 미 의회예산국(CBO)이 추산한 자연 실업률(4.4%)보다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미국 경제가 여전히 완전고용 상태일 가능성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3월 경제활동참가율이 62.5%로 전달보다 0.1%포인트 높아졌다는 점에서 실업률 상승이 반드시 고용 악화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분석도 나온다. 경제활동참가율 상승은 노동시장 밖에 있던 이들이 다시 일자리를 찾기 시작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임금 상승세는 비교적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3월 시간당 평균임금은 전달보다 0.3% 상승해 시장 전망과 부합했다. 다만 전년 동기 대비 임금 상승률은 3.8%로 시장 기대치였던 3.9%에는 다소 미치지 못했다.

이번 고용 지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추진하는 관세 정책과 이에 대응한 주요 교역국의 보복관세 조치 등으로 글로벌 무역전쟁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발표됐다. 월가에서는 이번 지표를 미국 실물경제의 내구성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 신호로 보면서도 향후 고용지표가 방향을 바꿀 가능성에 주목하면서 신중한 입장을 유지하는 분위기다.

블룸버그는 "3월 고용은 놀라운 강세를 보였지만, 연속된 실업률 상승과 전월 수치 하향 조정은 시장에 혼재된 신호를 준다"며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결정에 미묘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데이터"라고 보도했다.

뉴욕=심재현 특파원 urme@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머니투데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