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트럼프 관세 폭탄, 메모리 반도체에 ‘찬물’…불확실성 커져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반도체. 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회복세를 이어가며 업황 개선을 향한 기대감도 피어오르고 있다. 다만 ‘트럼프발 관세’ 리스크가 도사리고 있어 중장기 불확실성은 더욱 높아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6일 대만 시장조사업체 디램익스체인지의 집계를 보면, 이달 3일 4세대 디램(DDR4) 현물가격은 평균 1.951달러였다. 지난달 3일 기록한 올해 최저치 1.722달러보다 13.3% 높은 수준이다. 이는 용량이 8기가비트(Gb)이고 동작 속도가 2666메가헤르츠(㎒)로 표기되는 범용 제품을 기준으로 본 것이다. 유통시장에서 소량으로 거래되는 현물가격은 업황에 실시간으로 반응하는 만큼, 기업 간에 월·분기 단위로 협상하는 고정가격을 예측하는 데 가늠자로 활용된다. 일종의 선행지표인 셈이다.



고정가격도 고개를 들 기미가 나타나고 있다. 범용 디램 고정가격은 지난해 하반기 급락한 이후 지난달까지 보합을 유지해왔으나, 미국 마이크론 테크놀로지가 지난달 말 가격 인상 방침을 밝히고 나선 바 있다. 삼성전자도 최근 메모리 가격을 올리는 방안을 고객사와 논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회복세가 얼마나 오래갈지는 미지수다. 일단 최근의 가격 상승세에는 관세를 염두에 둔 선제적 재고 확보 움직임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있는 만큼 중장기 불확실성이 작지 않다. 게다가 미국이 발표한 상호관세가 현실화하면 미국 내 전반적 수요가 위축되면서 메모리 경기도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높다. 특히 메모리의 핵심 수요처인 스마트폰 시장이 관건이다. 미국은 애플과 삼성전자의 주요 스마트폰 생산거점인 중국과 베트남에 40~50%대 관세를 통보했는데, 실제로 부과되면 기업이 이를 일부 소비자가격에 반영하면서 미국 내 스마트폰 판매량이 줄어들 수 있다.



반도체 관세를 둘러싼 안개도 걷히지 않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취임 이후 줄곧 반도체 관세를 예고해왔으나 구체적인 부과 대상이나 세율은 언급한 바 없다. 반도체 업계에 쌓여 있는 불확실성이 상당한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일(현지시각)에도 “(반도체 관세는) 곧(very soon) 시작된다”고만 했다.



메모리 업계도 이들 변수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상락 에스케이(SK)하이닉스 부사장은 지난달말 주주총회에서 미국 관세 문제를 리스크 요인으로 들며 “(시장의 우호적 분위기가) 단기일지 중장기일지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재연 기자 jay@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민주주의, 필사적으로 지키는 방법 [책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한겨레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