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5 (화)

"러시아 대선개입 못막았다"…의회서 난타당한 페이스북·트위터·구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러시아, 구글 플랫폼서도 미국 대선 광고 게재


뉴시스

러시아 연계 광고 자료 의회에 제출할 페이스북


【서울=뉴시스】 안호균 기자 = 페이스북과 구글, 트위터가 러시아의 대선 개입 의혹에 대한 미국 상원 청문회에서 의원들로부터 난타 당했다.

의회는 IT 기업들을 상대로 정치 광고를 차단하기 위한 새로운 법안 도입에 찬성하라고 압박했다. 기업들은 보안 강화 등 재발 방지 조치를 약속하면서도 법안에 대해서는 즉답을 피했다.

31일(현지시간) AP통신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페이스북과 구글, 트위터의 변호사들은 이날 미국 상원 법사위원회의 러시아 청문회에 출석했다.

법사위원들은 2015년부터 러시아의 온라인 정치 개입이 시작됐지만 IT 업체들이 이를 막기 위한 노력을 하지 않았다는 점을 집중 질타했다.

민주당의 알 프랑켄 상원 의원은 "사람들이 페이스북, 구글, 트위터의 플랫폼에서 루블(러시아 화폐)로 정치광고를 구매하고 있다"며 "루블과 정치광고가 함께 묶이도록 둬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공화당의 린지 그레이엄 상원 의원은 "소셜 미디어가 캠페인 기간 동안 유용했지만, 우리를 해치고 우리의 삶의 방식을 약화시키려는 사람들도 플랫폼을 활용했다"고 지적했다.

의원들은 새로운 규제를 들고나와 IT 기업들을 압박했다.

민주당 에이미 클로버셔 상원 의원은 TV, 라디오, 인쇄물에 대한 정치 광고 규칙을 인터넷에도 적용하는 '정직한 광고' 법안을 업계가 지지해줄 것을 요구했다.

하지만 콜린 스트레치 페이스북 법무 자문위원은 "예"라고 대답하는 대신 "우리는 법안과 관련해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며 즉답을 피했다.

IT 기업들은 온라인 정치 개입을 근절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스트레치 자문위원은 "이런 나쁜 활동은 멈추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우리는 앞으로 나가기 위해 계속 학습하고 업무를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페이스북은 봇(Bot)과 스팸을 식별하고 정치 광고를 보다 투명하게 만들기 위한 노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내년까지 안전과 보안 분야 전문가 2만명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측근인 폴 매너포트 전 선거대책본부장이 특검에 의해 기소되면서 의회 청문회에서도 트럼프 행정부와 러시아와의 연계점을 찾기 위한 조사가 점차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야당의 공세도 강화되고 있다. 이날 소위원회에는 공화당 의원 11명 중 5명 만이 참석한 반면 민주당 의원은 9명 모두 참여했다.

페이스북, 구글, 트위터 등 3개사 관계자들이 11월1일 상원 정보위원회의 청문회에 참석할 예정이다.

ahk@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