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매혹의 남도 기행] “소금의 섬” 천일염의 고장 - 신안 상하태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소금의 섬으로 유명한 ‘상하태도’는 전남 신안군 신의면의 본섬에 해당한다. 원래는 ‘상태도’와 ‘하태도’로 분리되어 있던 섬이 지속적인 간척과 한국전쟁 이후 대규모 염전들이 만들어지면서 하나의 섬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하의도, 상태도, 하태도를 합쳐서 흔히 하의3도라고 부르는데, 하의면에 속해 있다가 1983년 분리되면서 ‘신의면’이라는 행정명칭이 만들어졌다.

매일경제

상하태도는 동북쪽으로 장산도와 서쪽으로 하의도와 인접해 있고, 남쪽은 대한민국 최서남단인 가거도와 연결되는 해역이다. ⓒMK스타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매일경제

신의면 과부도. 신의면에는 본섬인 상하태도와 기도, 평사도, 고사도 4개의 유인도가 있고, 13개의 무인도가 있다. ⓒMK스타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상하태도는 천일염의 고장으로 유명하다. KBS 예능프로그램 ‘1박2일’에 소개되면서 더욱 유명해졌는데, CNN 여행 전문 섹션 프로그램에서 선정한 대한민국에서 가볼 만한 섬 33곳 중 2위를 차지했다. 하얀 소금 밭이 외국인들 눈에는 경이롭게 여겨졌던 것 같다.

매일경제

흔히들 ‘신의는 소금이 절반이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주변에서 염전을 쉽게 볼 수 있다. ⓒMK스타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매일경제

상하태도에서 생산되는 소금의 양은 전국 소금 생산량의 20%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많다. ⓒMK스타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매일경제

염전에서 바라보는 낙조의 모습은 세계 어느 곳에서도 쉽게 찾아 볼 수 없는 희귀한 광경이다. ⓒMK스타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상하태도의 주요 관광자원으로는 문필봉을 중심으로 한 해안 웰빙산책로와 황성금리해수욕장 등이 있다. 이곳은 민중미술가로 명성을 얻고 있는 화가 홍성담의 고향이기도 하다.

매일경제

당두 공덕비. 당두 선착장에 보존되어 있는 이 공적비들은 조선 후기 도서지역 사회상과 흐름을 살필 수 있는 유적으로 가치를 평가받고 있다. ⓒMK스타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매일경제

해오름 전망대. 다도해의 아름다운 바다 풍경을 바라 볼 수 있는 곳이다. ⓒMK스타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매일경제

황성금리해수욕장. 하태도 남쪽 해안에 자리하고 있으며, 모래사장과 소규모 섬들이 어울려 한 폭의 그림을 연출하고 있다. ⓒMK스타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MK스타일] 글・사진 / 이강인 (여행작가)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