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매혹의 남도 기행] 유학 전통 이어온 섬마을 - 신안 ‘지도(智島)’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남 신안군 도서 중 북부권의 중심 섬인 지도는 현 신안군 지도읍의 본도이다. 다른 섬의 이름은 대부분 섬의 모양이나 색깔과 관련이 많은데, 지도는 지혜로울 ‘지(智)’를 섬 이름으로 사용하고 있다. 섬이지만 내륙과 가깝고 문화수준이 매우 높았던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매일경제

지도에서 바라본 석양. 지도는 임자면과 증도면 등 신안군 북부권 섬들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이다. ⓒMK스타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도는 내륙과 가깝고 유배인들이 많이 와서 섬사람들의 유학적 전통이 가장 잘 남아 있는 곳으로 지도향교, 두류단 등의 문화유적이 있다.

매일경제

지도 향교. 다른 지역 향교에 비교하면 역사는 짧지만 섬마을에 설치된 향교라는 특색을 지니고 있다. 1984년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11호로 지정되어 있다. ⓒMK스타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매일경제

두류단 오 선생 비. 듀류단은 지도에 유배와서 많은 영향을 끼친 중암 김평묵 사후에 문도들과 호남 유림들이 선현들을 기리기 위해 조성한 제단이다. ⓒMK스타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매일경제

일심사 극락전. 한국의 전통사찰 제83호로 지정되어 있는 곳으로, 한국 전쟁 중에 전몰한 군인과 경찰을 포함한 호국영령들의 위패를 모신 사찰이다. ⓒMK스타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매일경제

후촌마을 할머니 장승. 1917년 나무로 세워졌다가 장승이 썩어가면서 마을에 흉년과 사고가 자주 발생했다고 한다. 이후 주민들이 석장으로 다시 세운 후 마을이 평안해지고 풍년이 왔다고 전해진다. ⓒMK스타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도에는 신안군 수산물유통센터가 있어 주변 수산물 상권의 거점이 되고 있다. 주변 해역에서 병어와 민어 등이 많이 잡히고, 주민들은 농사, 김 양식, 염전 등에 종사한다.

매일경제

지도 송공 위판장에 모여 있는 새우젓. ⓒMK스타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매일경제

지도의 점암 선착장에서 배를 타면 임자도로 갈 수 있다. ⓒMK스타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매일경제

현재 지도와 임자도를 연결하는 연륙교가 건설 중이다. ⓒMK스타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MK스타일] 글・사진 / 이강인 (여행작가)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