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생생건강 365] 봄보다 무서운 겨울철 미세먼지, 어찌하오리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김태열 기자] 겨울철 미세먼지는 화석연료 사용과 자동차의 배기가스, 공업지역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이 서풍과 북서풍을 타고 우리나라로 넘어옵니다. 특히 겨울철 미세먼지는 봄철 미세먼지 보다 황산암모늄과 질산암모늄과 같은 유해 중금속이 많이 섞여있을 뿐 아니라 난방을 위한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의 사용이 급증하고 비가 많이 오지 않아 미세먼지가 흩어지지 않고 대기 중에 머물기 때문에 다른 계절에 비해 유독 기간이 긴 것이 특징입니다.

헤럴드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겨울철에는 실내외에서의 호흡기질환 예방이 중요합니다.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에는 차갑고 건조한 공기를 피할 수 있도록 불필요한 야외 활동을 자제하는 것이 좋고, 마스크 착용은 필수적으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공기가 건조함에 따라 호흡기의 일차방어막인 코와 기관지점막이 말라 바이러스가 쉽게 침투하기 때문에 충분한 수분섭취와 습도를 유지해 건조하지 않도록 해야 하며 최근 이용률이 늘고 있는 실내 공기청정기를 사용해 내부 공기를 깨끗하게 하고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키는 작업을 대체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마스크 착용 시 보온용 일반 마스크가 아닌 황사마스크를 착용하고 한번 사용한 황사마스크는 오염이 우려가 있으므로 재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겨울철 미세먼지는 피부와 옷에 쉽게 접촉되기 때문에 외출 후 세안과 목욕을 필수로 하고 외출복은 자주 세탁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피부질환자인 경우 중금속이 포함된 오염물질이 피부에 닿으면 자극이 돼 피부질환이 악화될 수 있으며, 일반인의 피부에도 유사한 자극을 주게 되어 따끔거림이나 간지럼 등을 동반한 피부염증을 유발해 피부건강을 해칩니다.

<도움말:고려대 안산병원 가정의학과 김도훈>

kty@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