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5·18 민주화 운동 진상 규명

'5·18 계엄군 등 성폭력' 정부 공동조사단 출범…피해 접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JTBC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앵커]

1980년 5월 광주에서 여성들이 계엄군에게 성폭력을 당했다는 증언들이 쏟아져 나오면서 정부가 공식 조사를 시작했습니다. 오늘(8일)부터 10월까지 피해 신고 접수를 받는 한편, 군 안팎의 자료도 검토할 계획입니다.

오효정 기자입니다.



[기자]

5·18 당시 투옥됐던 김선옥 씨는 38년간 가슴에 묻어온 아픈 기억을 최근 털어놨습니다.

[김선옥/5·18 국가유공자 : (수사관이) 나를 석방하기 전날 데리고 여관에 가서 나를 덮쳤을 때 이 가슴이…]

거리방송에 나섰던 차명숙 씨도 피해를 증언했습니다.

[차명숙/대구·경북 5·18동지회 공동대표 : 여성들에게 가해진 고문은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치욕과…]

계엄군이 여성 서너명을 산으로 끌고 가 성폭행했다는 기록도 나왔습니다.

5·18 민주화운동 당시 감춰져있던 여성들의 피해가 조금씩 드러나고 있습니다.

발포명령자를 찾는 등의 진상규명과 별개로 여성들의 성폭력 피해조사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습니다.

국가인권위원회와 국방부, 여성가족부는 오늘 공동조사단을 출범했습니다.

오는 10월까지 해바라기센터 등을 통해 성폭력 피해 신고 접수를 받습니다.

[이숙진/여성가족부 차관 : 조사결과는 5·18 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에 이관해 종합적인 진상규명과 적절한 조치가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하지만 10년의 공소시효를 넘긴 상태라 가해자 처벌까지 이어질지는 미지수입니다.

[이윤정/오월민주여성회 대표 : 진상규명이라는 것은 관련자, 책임자 처벌을 해야만 하잖아요. 정부가 좀 더 강한 의지로 (결단을 내려야 합니다.)]

조사단측은 공소시효를 배제하는 문제는 조사가 마무리된 뒤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디자인 : 이재욱)

오효정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