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난민과 국제사회

여행은 가야하고 숙소는 없고…일본 '에어비엔비 난민'들의 규제 피하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사진=/위키미디아 커먼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이민영 기자 = 일본은 지난 6월 당국이 공유숙박업 규제 관련법인 ‘민박신법’을 시행하자 대규모 예약 취소가 발생하는 ‘숙박 대란’이 일어났다. 숙소를 잃은 여행객들이 규제를 피해 숙소를 찾아나며 일본 숙박 암시장이 형성됐다.

닛케이아시안리뷰의 3일 보도에 따르면 일본 방문을 계획했던 각국 여행객들은 돌연 숙소 예약이 취소되자 규제를 피해 개인적으로 호스트와 연락하는 등의 방법으로 숙소를 구하고 나섰다. 당초 민박을 양성화하려던 일본 정부의 취지와는 정반대의 효과를 불러 일으킨 것.

7월 말 니가타 현으로 여행을 계획하고 있던 익명의 일본 남성은 이미 예약해놓은 콘도의 호스트로부터 “에어비엔비에 전화해 예약 취소를 요청하라”는 내용의 이메일을 받았다. 그는 여행을 한달을 채 남겨두지 않은 시점에 새 숙소를 구해야할 위기에 놓였다.

하지만 규제를 피할 방법은 있다. 호스트가 곧 그에게 “우리가 서로 아는 사이인 친구고, 방에서 지낸다고 말하면 된다”며 예약을 취소하고 도착하는 날 현금으로 숙박비를 지불해도 된다고 연락해왔다. 호스트의 제안을 받은 남성은 “운이 좋았다”며 “에어비엔비측에서 제공한 보상금도 수령할 수 있었고, 취소하는데 수수료도 들지 않았다”고 말했다.

일본 여행을 계획하고 있는 또 다른 프랑스 커플 여행객도 비슷한 일을 겪었다. 이 커플도 에어비엔비 측으로부터 ‘예약했던 숙소가 불법업소로 구분돼 예약이 자동 취소될 것’이라는 메일을 받았다.

다만 이 커플도 호스트로부터 개인적으로 ‘여전히 이 숙소를 이용하고 싶은지’에 대한 연락을 받았다. 이 커플은 “불법 숙박에 대해 조금 걱정한건 사실이다”면서도 “다시 생각할 시간이 없었다”고 말했다.

일본 정부는 지난 6월 15일부터 ‘민박신법’을 시행해 민박 영업자들이 지자체에 공유숙박업 신고를 하고 자격번호를 받을 것을 요구했다. 다만 정부의 요구 조건이 높아 이를 충족하지 못한 민박 업주들이 기한 내에 등록을 마치지 못하며 문제가 발생하게 됐다.

숙박 공유 플랫폼 에어비엔비는 일본 당국의 조치를 어기지 않기 위해 숙소 4만여 곳을 즉각 삭제하고, 예약을 대거 취소해 버리는 등의 조치를 취했다. 에어비엔비에 등록된 일본 민박수가 올해 초 6만2000여 곳에 달했는데 무려 80%에 달하는 수가 갑자기 삭제되며 가까운 시기 일본 방문을 예정했던 방문객들이 이른바 ‘에어비엔비 난민’이 됐다.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 인터내셔널에 따르면 에어비엔비는 일본 단기 숙박 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해왔다. 2012년 2.6%의 점유율을 보이던 에어비엔비는 지난해 60.3%의 시장 점유율을 보였다.

이에 분석가들은 일본의 공유 숙박업 시장 상황이 어둡다고 분석했다. 다츠노리 쿠니요시 유로모니터 인터내셔널의 원구원은 “올해 이용 가능한 객실의 수가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은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