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용주 연구원 "신군부 만행 반인도 범죄로 규정하고 폭넓게 재조사해야"
5·18 당시 희생자를 끌고 가는 계엄군 병력 [연합뉴스 자료사진] |
(광주=연합뉴스) 정회성 기자 = 5·18기념재단은 "30년에 걸쳐서 군부독재 인적청산 작업을 추진한 아르헨티나 사례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17일 밝혔다.
5·18재단은 최용주 비상임연구원이 발표한 연구보고서 '불처벌을 넘어서: 아르헨티나 이행기 정의 실천과 시사점'을 소개하며 5·18 진상규명 방향으로 해외 사례를 제시했다.
최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아르헨티나는 민주주의 체제 이행 후에도 영향력을 발휘한 군부세력의 압력을 극복하고 사면된 전직 대통령과 군 통수권자를 다시 구속하는 인적청산을 30년에 걸쳐서 추진했다"고 설명했다.
최 연구원은 아르헨티나 사례와 달리 광주에서 자행된 국가폭력은 철저한 처벌이 없었다는 점을 지적하며 5·18 진상규명 특별법 시행으로 출범하는 진상규명위원회에 과제를 제시했다.
또 5·18 당시 인권침해 현장에서 계엄군 병력을 직접 지휘하고 폭력을 행사한 인물들에 대한 폭넓은 조사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과거 진상조사가 신군부 핵심세력 몇 사람에게만 한정돼 정확한 실태 파악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한계를 지적했다.
재단은 칠레, 우루과이, 브라질, 멕시코, 대만 등 광주와 유사한 아픔을 겪은 국가의 과거청산 사례를 발굴하고 분석해 추가 보고서를 펴낼 예정이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