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발표한 7월 고용동향 지표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대비 5000명 증가 그치며 8년6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일자리 정부’라는 말이 무색한 최악의 고용참사다.
이처럼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 성장론이 고용절벽에 직면하면서 관 주도가 아닌 민간 주도의 일자리 정책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규제개혁 등을 통해 민간과 시장에서 기업의 기(氣)를 살리는 경제정책을 운용하겠다”는 입장을 표했다.
◆ 채용 늘리는 유통그룹… 총수 부재 롯데는 규모 확정 못해
먼저 신세계그룹은 올 하반기 신입사원 공채를 지난해와 비슷한 8000명 수준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다만 전문점과 신사업을 중심으로 상시 채용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정용진 부회장은 지난 6월 김동연 부총리와 비공개 면담에서 향후 3년간 총 9조원을 투자해 매년 1만명을 신규 채용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현대백화점그룹은 올 하반기에 전년 동기대비 50% 이상 늘어난 1800여 명을 채용할 예정이며, BGF리테일도 예년과 비슷한 100여명 수준의 공채를 진행할 계획이다.
|
앞서 롯데는 지난해 경영 혁신안을 통해 향후 5년간 7만명을 고용, 이 가운데 61%인 4만2600명을 유통 부문에서 채용하기로 했다. 그러나 총수가 구속된 데다 백화점 매각과 영업시간 단축 등으로 추가 고용에 상당한 고충을 겪고 있다.
롯데지주 관계자는 “불확실한 경영 여건과 신동빈 회장의 부재로 채용 규모를 확정하는 게 쉽지 않다”며 “점진적으로 채용 규모를 늘려나갈 계획이지만 올 하반기 공채 규모는 지난해 하반기 6100명과 비슷한 수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유통업계는 정부의 일자리 정책 기조에 부응해 채용 규모를 확대하거나 최소한 예년 수준으로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착잡한 속내도 엿보인다. 최저임금 인상과 유통업 규제로 경영 환경이 악화된 상황에서 일자리 창출 여력이 한계에 다다랐기 때문이다.
실제로 백화점 3사는 올해 신규출점이 전무하다. 오는 2020년 현대백화점 여의도점, 2021년 신세계 대전점 외엔 당분간 추가적인 오픈 계획조차 없다. 롯데백화점의 경우 인천·부평·안양점 매각을 추진 중이다. 국내 백화점 시장 규모도 지난해 29조3000억원으로 전년대비 2% 가량 줄어들었다.
|
◆ 상생법 등 유통업 규제로 일자리 확대에 한계 노정
한 유통업체 관계자는 “사회 전반에 고용 우려가 커진 만큼 우리도 일자리 정책에 부응하려고 노력하지만 고삐를 죄는데 질 좋은 일자리를 내놓기가 쉽지 않은 게 사실”이라며 "기업의 활력을 높여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 후에 민간 일자리를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이 통과될 경우 한 해 최대 3만5706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유통업 규제가 일자리 감소로 직결되는 셈이다.
실제 유통업의 고용 비중은 전체 사업 평균(4.8%)의 3배 수준인 14.2%에 달한다. 복합쇼핑몰 1개가 출점할 때마다 최소 5000개의 일자리가 생겨난다. 백화점 점포당 평균 취업자수도 1604명에 이른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일선 점포의 경우 가장 효율적인 시스템에 맞춰 적재적소에 필요한 인력을 배치한다”며 “새 점포가 오픈한다면 이 같은 시스템을 갖추기 위해 상당수의 추가 고용이 뒤따르지만 인건비 부담도 커진 상황에서 신규출점 없이 고용을 늘리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고충을 토로했다.
|
jun@newspim.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