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6 (토)

이슈 고용위기와 한국경제

금통위 D-4…무역분쟁·고용쇼크 vs 집값·미국금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달 동결 유력…소수의견 통해 인상기조 유효 시그널 줄 것
中통화완화 정책 변수로 떠올라…일각선 연내동결 의견도

아시아경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달 12일 서울 중구 세종대로 한은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다. /문호남 기자 munonam@


[아시아경제 조은임 기자] 나흘 뒤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동결 전망이 유력한 가운데 시장의 눈은 10월, 11월 금통위로 향하고 있다. 향후 대내외 경제상황을 지켜본 뒤 인상여부가 결정될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어서다. 금리인상과 인하 요인이 팽팽하게 맞선 상황이 지속되면서 금통위원들의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27일 금융시장에 따르면 증권가를 중심으로 이달 동결, 소수의견 전망이 유력한 것으로 관측된다. 미중간 무역분쟁 협상이 결실을 맺지 못하는 데다 역대 최악수준의 고용지표는 금리인상을 저지하는 요인이다. 하지만 인상 요건도 여전하다. 내달 미국 금리인상이 기정사실화된 상태에서 서울을 중심으로 한 집값 급등도 인상에 힘을 실어준다.

채권 전문가들은 일단은 이달 동결을 선택한 뒤에 소수의견을 통해 인상기조가 유효하다는 시그널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달 금통위에서는 이일형 위원이 인상 소수의견을 낸데 이어 이주열 총재도 국회 기재위에서 잠재성장률 수준의 성장세와 물가를 전제로 금리 조정의 필요성을 언급한 바 있다.

소재용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9월 연준의 금리인상, 정부의 부동산 시장 과열 경계는 이론상 금리인상 요인"이라면서도 "부진을 면치 못하는 고용과 내수경기 그리고 둔화되는 수출 증가 율, 향후 인민은행의 통화완화 기조 전환 가능성 등은 한은이 금리를 올리기 어려운 현실적인 부분"이라고 전했다.

이미선 부국증권 연구원은 "4분기에 금리인상을 단행해도 늦지 않다. 그때 고용지표가 최악을 벗어나 어느 정도 회복해준다면 금리인상의 부담은 훨씬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연내 금리 동결을 주장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건설투자 급감, 고용부진 등으로 국내 경기 회복이 쉽지 않고, 중국의 통화완화 기조가 새로운 변수로 떠오른 상황이다. 소 연구원은 "8월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며 연내 금리인상 역시 상당히 불확실해 보인다"고 말했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가계부채, 부동산 상승, 대외금리차 등 금리인상을 위한 조건들은 유효하다"면서도 "한은 당위론보다는 펀더멘탈의 당위론으로 금리를 올려서는 안되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해외 투자은행(IB)들 역시 유사한 전망을 내놓고 있다. 우리나라의 향후 경기를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강하다. HSBC는 '고용쇼크(The employment shock)'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고용지표 악화는 일부 인구구조적 변화에 기인하지만 주된 원인은 성장 동인의 변화에 있다"며 "한은은 금리인상 이전에 성장률이 잠재성장률 수준을 충족하고 인플레이션 목표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것"이라고 전했다. HSBC는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시점을 8월에서 11월로 늦췄다.

한편 한은은 지난해 11월 1.25%에서 1.50%로 6년5개월 만에 금리를 인상한 뒤 동결을 유지해 오고 있다. Fed가 내달 예상대로 금리를 올린다면 미국의 기준금리는 2.00~2.25%가 된다.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1.50%외 비교하면 최저 0.50%에서 최고 0.75%의 금리차를 보이게 된다.

조은임 기자 goodnim@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