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자영업 줄폐업...서울 핵심상권마저 휘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최저임금 인상에 불황 지속

종로·명동·강남역·홍대 등

가게 문 닫아 빈 점포들 넘쳐

올 폐업 첫 100만명 넘을 듯

서울 강남역 12번 출구 인근에서 10년째 주점을 운영해온 박창호(가명)씨는 “근로시간 단축으로 회식이 줄면서 매출이 최대 40%나 감소했다. 인건비가 몇 년 새 2배 가까이 올라 전체 직원 10명 중 3명을 내보냈지만 조만간 고용인원을 더 줄여야 할 판”이라며 깊은 한숨을 내쉬었다. 박씨는 “주점이나 화장품가게를 운영하던 동료 사장들이 하나둘씩 강남상권을 떠나고 있어 나 역시 가게를 정리하고 다른 일을 찾아야 하지 않을까 고민이 많다”고 덧붙였다.

한때 ‘불패상권’으로 불리던 종로와 명동·강남역·홍대 등 서울의 대표상권이 동시에 무너지고 있다. 심화하는 불경기와 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회식 감소까지 겹치며 자영업자들의 폐업이 줄을 잇고 있다.

서울경제신문이 지난 2일과 3일 이틀 동안 서울의 주요 핵심상권을 현장 취재한 결과 기존 업체가 폐업한 후에도 새 점포가 들어서지 않아 비어 있는 곳이 눈에 띄게 늘었다. 성수대교 남단부터 압구정로데오역 7번 출구까지 대로변에는 ‘임대’ 표시가 붙은 빈 매장이 수십 곳에 달했다. 신흥상권으로 꼽히는 상수동 역시 직격탄을 맞으며 상수역 1번 출구 부근에 통째로 비어 있는 건물만도 4동에 달했다. 신사동의 한 부동산중개인은 “임대료를 내려도 문의조차 없는 상황”이라며 “지난해에는 하나도 없던 공실이 올 들어 우후죽순 생기며 한 블록에만도 공실이 10개를 넘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핵심상권의 몰락은 통계로 확인할 수 있다. 국세청의 국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폐업 신고한 사업자(개인·법인 포함)는 90만8,076명으로 2014년(81만5,624명), 2015년(79만 50명)에 비해 크게 늘었다. 업계는 올해 폐업 자영업자가 사상 처음으로 1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심화하는 불경기에다 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 등 악재가 겹치면서 탈출구를 찾지 못한 자영업자들이 폐업을 선택할 수밖에 없어서다.

특히 최저임금의 여파로 직격탄을 맞은 영세사업자의 충격이 예상보다 큰 것으로 파악됐다. 고용정보원의 사업장 성립·소멸 현황 자료에 따르면 4월 6만2,076건이었던 5인 미만 사업장 폐업 건수가 7월 10만4,048건, 8월 9만8,250건으로 급증했다. 사업장 신규 성립과 소멸 건수의 차인 순증분 역시 4월 4만2,654건에서 7월 1,256건, 8월 1,435건으로 급감했다. 사업을 접는 자영업자가 급증하는 반면 창업에 나서는 자영업자는 줄고 있다는 얘기다.

/맹준호·서민우·심우일기자 next@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