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민노총 위원장 "탄력근로제 확대, 절대 동의 못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이해진 기자] [김명환 위원장 "21일 총파업에도 응답 없으면 내년도 강력투쟁 이어간다"]

머니투데이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이 20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 분수대광장에서 열린 '민주노총 지도부 시국농성 마무리 및 11.21 총파업 결의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뉴스1



"총파업은 민주노총이 갑자기 정부를 겁박하려고 던진 카드가 아니다. 오히려 정부가 적폐야당과 짬짜미로 민주노총을 겁박하고 있다."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은 20일 오전 서울시 종로구 효자동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열린 '11.21 총파업 결의 기자회견'을 마친 후 기자와 만나 정부와 국회를 향한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노총은 이달 21일 전국 14개 지역·조합원 20만명이 참여하는 총파업에 돌입한다.

김 위원장은 "11월 총파업은 올해 상반기 정부가 산입범위를 강화한 최저임금법 개정에 나설 때부터 결정한 사안"이라며 "정부가 말을 들어주지 않는다고 갑자기 겁박하려고 꺼내 든 카드가 아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민주노총 총파업을 가리켜 정부를 겁박하는 기득권 행태라고 비난하지만 민주노총은 올해 초부터 정부와 국회에 대화하자고 요구해왔다"며 "오히려 지금 민주노총을 법 개악 등으로 겁박하는 것은 정부와 국회"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을 비롯해 민주노총 지도부는 이달 21일 총파업을 앞두고 이달 14일부터 이날까지 청와대 앞 분수에서 숙식을 해결하며 농성해왔다. 특히 김 위원장은 탄력근로제 단위기간 확대를 추진하고 있는 국회와 정부를 강력히 규탄했다.

김 위원장은 "탄력근로제 단위기간 확대는 노동법 개악의 중요한 분기점이 될 수 있다"며 "절대 동의할 수 없고 끝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21일 총파업' 이후에도 정부와 국회 응답이 없으면 연내는 물론 내년까지 강경 투쟁을 이어나갈 뜻을 밝혔다.

김 위원장은 "총파업 이후에도 정부와 국회 응답이 없으면 총력투쟁을 이어가겠다"며 "12월 농성 계획들이 이미 세워져 있고 내년에도 강경투쟁을 이어갈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해진 기자 hjl1210@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