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국민 노후자금, ‘쪽박’ 가능한 ELS 등 파생결합증권에 쏠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쿠키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ELS(주가연계증권) 등 원금손실 가능성이 있는 파생결합증권에 70대 이상의 노후자금이 몰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증권에 비해 불완전판매 가능성이 높은 은행을 통해 75% 이상의 파생결합증권이 판매됐다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1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6월말 현재 발행된 ELS 등 파생결합증권 잔액 101조원 가운데 47조원(46.5%)을 개인들이 들고 있다. 이중 19조7000억원(41.7%)을 60대 이상 개인이 투자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대별 투자금액을 보면 60대 이상 투자금액이 전체 개인 투자금액의 41.7%를 차지했다. 50대 투자금액이 14조5000억원(30.7%)으로 가장 많은 금액을 보였다. 뒤이어 60대 (12조원, 25.4%), 40대 (8조7000억원, 18.4%), 70대 (5조9000억원, 12.5%), 30대 이하 (4조2000억원, 8.9%), 80대 이상 (1조8000억원, 3.8%) 순이다.

연령대별 투자자 수 역시 60대 이상이 30% 넘어서는 등 고연령층의 파생결합증권 투자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고연령대의 투자금액은 40대와 50대의 2배 수준에 달했다. 70대와 80대의 파상결합증권 1인당 평균 투자금액은 1억200만원과 1억7200만원으로 60대도 7500만원에 달했다. 반면 30대 이하의 파생결합증권 투자금액은 3000만원, 40대는 5400만원, 50대도 6500만원에 불과했다.

금감원은 파생결합증권에 대한 고연령층의 투자 쏠림 현상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통상 안정적인 투자성향을 보이는 고연령 층의 파생결합증권 투자가 과연 '묻지마 투자'가 아닌지 따져봐야 한다는 것.

파생결합증권 투자가 주로 은행을 통해 취급되고 있다는 점도 금감원의 우려를 더하고 있다. 접근성이 높은 은행들은 전체 파생결합증권 투자금액의 75.8%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한 은행의 70대 이상의 고연령층은 증권의 6배에 달한다. 하지만 올해 실시된 미스터리쇼핑 결과 은행은 증권에 비해 불완전판매에 더 취약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된 바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60대까지는 근로소득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렇지만 70대 이상은 근로소득이라고 보다는 노후자금이다. 노후자금은 기본적으로 안정적으로 운용되야 하는 특성이 있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이 관계자는 '파생결합증권은 원금손실 가능성이 있는 고위험 상품으로, 물론 투자는 투자자의 자기판단에 따른 것'이라면서도 '70대, 80대 어르신이 파생상품의 리스크를 알고 투자를 하셨는지 따져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감원은 이에 70대이상 고령투자자와 투자부적격 투자자에게 적용되는 투자자 숙려제도가 제대로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을 지속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투자자 숙려제도는 일반투자자(법인 제외) 중 투자성향이 부적합한 투자자와 고령투자자(70세이상)를 대상으로 청약 마감 2영업일전까지 청약하고, 이후 숙려기간(2영업일) 동안 최종 투자여부를 확정하는 제도다.

금감원 관계자는 '파생결합증권 투자시 원금손실 발생 가능성이 있고, 예금보호대상이 아니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며 'ELT,ELF가 은행에서 판매되고 있지만 예금보호 대상은 아니다'라고 당부했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

쿠키뉴스 조계원 Chokw@kukinews.com
저작권자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