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업무영역 외 보고' 올리지 말라는 질책받고 김태우는 왜 10일 뒤 다시 올렸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해 7월中 민간인 관련 첩보후 특감반장 지적...열흘정도 지나 野의원 첩보
17일 靑대변인 "반장 제지후 문제첩보 수집 없었다" 해명과 어긋나

조선일보

청와대는 20일 반부패비서관실 특별감찰반이었던 김태우 수사관이 공개한 첩보 목록 중 최경환 전 경제부총리 관련 보고는 특감반장이 지적해 폐기된 문건이라고 설명했다.

박형철<사진> 청와대 반부패비서관은 이날 출입기자들에게 보낸 문자메시지를 통해 "김 수사관의 ‘최경환 의원 건’ 작성 일시는 지난해 7월 25일로 김 수사관이 초기에 업무파악을 못 하고 썼다가, 특감반장으로부터 지적받고 폐기된 문건"이라고 했다.

하지만 이 같은 설명은 이전 해명과 어긋나는 것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지금까지 청와대는 김 수사관이 지난해 7월 중순에 ‘업무영역 외 보고는 올리지 말라’는 질책을 받고 더는 보고를 올리지 않았다고 해명해 왔다. 하지만 최경환 의원 건의 경우 김 수사관이 질책을 받은 10여일 뒤에 다시 ‘업무영역 외 보고’를 올린 셈이 된다.

전날 자유한국당은 김 수사관이 청와대 재직시 작성한 첩보 목록을 입수해 이를 공개했다. 한국당은 이 과정에서 11건의 보고서 제목을 지적하면서 민간인·언론·정치인 등의 정보를 수집한 것으로 보여 문제가 있다고 했다.

박 비서관은 전날 이 11건의 보고 중 10건에 대해서만 해명을 내놓았고, 최 전 부총리와 관련된 보고에 대해서는 해명하지 못했다.

박 비서관은 최 전 부총리 관련 보고서와 비슷한 시기 작성된 ‘코리아나 호텔 사장 동향’(2017년 7월 11일)과 ‘한국자산관리공사 비상임이사의 홍준표 전 한국당 대표 대선자금 모금 시도’(2017년 7월 14일) 보고에 대해 "특감반 초기 이전 정부에서 다양한 첩보 수집 관행을 못 버리고 민간영역의 첩보 수집을 작성해 특감반장에게 보고했고, 특감반장이 (이를) 제재했다"고 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도 "특감반 초기에 김 수사관이 (이런 보고를 하자) 특감반장이 ‘업무 밖이니 이런 건 쓰지 말라’고 중단시켰다고 한다. 이후 문제의 첩보 수집은 없었다"고 했었다. 당시 기자들은 김 대변인에게 ‘반복된 엄중 경고에도 불구하고 민간인 관련 첩보를 가져오는 잘못을 반복한다면 당시 징계했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물었는데, 이에 김 대변인은 김 수사관의 민간인 관련 첩보 수집이 관리자의 제지 이후 더는 없었다는 취지로 이같이 설명했다.

그러나 최경환 전 부총리 관련 보고에 대한 박 비서관의 이날 해명으로, 김 수사관이 지난해 7월 중순 민간 관련 정보를 보고해 윗선의 지적을 받았음에도 열흘 정도 지난 시점에 다시 ‘업무 영역 외’ 보고를 해 같은 지적을 받았다는 사실이 드러나게 됐다. 청와대 특감반 경험이 있는 사정기관 관계자는 "특감반 소속 수사관이 윗선의 질책을 받고 10여일 뒤 다시 같은 식의 보고를 올렸다는 점은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했다.

[박정엽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