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7 (금)

이슈 최저임금 인상과 갈등

최저임금 인상으로 편의점 등 경기전망 부정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최저임금이 8530원으로 인상되면서 소매유통업계 중 편의점, 슈퍼마켓 등 직원들을 고용할 수 밖에 없는 업종의 전망이 부정적으로 나왔다.

다만 무점포업테인 인터넷 쇼핑, 홈쇼핑 등은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소매유통업체 100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2019년 1분기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RBSI)'가 전분기보다 4포인트 하락한 '92'로 6일 집계됐다. 지난해 2·4분기 98을 기록한 후 3분기 연속 하락세다.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는 기준치(100)를 넘으면 다음 분기 경기가 이번 분기보다 호전될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많다는 뜻이다.

홈쇼핑(110)과 온라인쇼핑(103)은 경기 호전을 기대하는 많았다. 반면 백화점(94), 대형마트(94), 슈퍼마켓(80), 편의점(71) 등 오프라인 업태들은 부정적 전망이 많았다.

특히 백화점은 지난 분기보다 지수가 11포인트 하락해 기준치 100을 밑돌았다. 대한상의는 "강추위를 기록했던 지난해보다 모피와 패딩 등 고가 의류의 판매가 부진하고 화장품과 명품 소비로 매출을 견인하는 'VIP고객'의 전체 소비액도 전분기보다 다소 줄어든게 이유"라고 밝혔다.

편의점 전망지수는 17포인트 하락한 71로 집계됐다.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인건비 부담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근접출점 제한, 카드수수료 인하 등 새해에 시행되는 정부 지원정책을 체감하기까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슈퍼마켓은 1포인트 떨어진 80으로 조사됐다. 동절기를 맞아 주력인 신선식품에서 온라인 배달서비스로 고객이탈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설 선물은 백화점·인터넷 등에서 예약구매하고 제수용 식품은 대형마트를 찾는 소비자가 많다보니 명절특수에 대한 기대감도 낮았다.

온라인을 기반으로 하는 홈쇼핑과 온라인 쇼핑 역시 전분기보다 하락했지만 여전히 100 이상을 나타났다.

홈쇼핑은 전분기보다 10포인트 하락한 110을 기록했다. 2월은 영업일수가 적고 연휴에 시청자가 줄기 때문에 1·4분기 실적은 전분기보다 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온라인쇼핑 전망지수는 103으로 지난 분기보다 4포인트 떨어졌다. 코리아세일페스타, 블랙프라이데이, 광군제 등 대대적인 할인행사로 매출이 크게 늘었던 지난분기 대비 기저효과가 작용했다. 또 업체간 경쟁이 심화되면서 프로모션과 배송, 멤버쉽 등에 소요되는 마케팅 비용이 다소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수익성 측면에서는 '악화될 것'(72.9%)이라는 전망이 '호전될 것'(8.5%)이라는 전망보다 많았다. 특히 편의점, 슈퍼마켓, 대형마트에서 수익성 악화에 대한 우려가 많았다.

pride@fnnews.com 이병철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