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작년 도·소매업 1인 자영업자 5만6천명 줄어…일용직도 급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인 숙박·음식점업도 6천명 줄어…고용원 있는 자영업은 증가

연합뉴스

문구시장은 새학기 준비로 북적
(서울=연합뉴스) 최재구 기자 = 새 학기 시작과 여름방학 개학을 앞두고 20일 서울 종로구 창신동 문구완구거리를 찾은 학생과 학부형들이 문구점을 가득 메우고 있다. 2017.8.20 jjaeck9@yna.co.kr



(세종=연합뉴스) 정책팀 = 지난해 고용원이 없는 영세 자영업자는 도·소매업 분야에서 감소세가 두드러진 것으로 분석됐다.

일용직은 내수 부진, 최저임금 인상, 점포 무인화 등 영향으로 숙박·음식점업에서 낙폭이 컸다.

27일 현대경제연구원이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지난해 도·소매업의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78만2천명으로 전년(83만8천명)보다 5만6천명(6.6%) 줄었다.

지난해 전체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가 전년보다 8만7천명 줄어든 점에 비춰보면 전체 감소 폭의 64%가 도·소매업에서 나온 셈이다.

반면 도·소매업의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37만3천명에서 38만6천명으로 1만3천명 늘었다.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와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의 증감은 같은 상황이라도 경기 상황에 따라 정반대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이 대다수 전문가의 견해다.

통상 일자리 사정이 좋을 때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증가를 '새로운 창업'으로,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의 감소는 '사업 확장'으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최근처럼 경기가 부진할 때는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 증가는 '일자리를 잃은 임시·일용직의 유입'을,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의 감소는 '폐업 증가'를 주된 원인으로 본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분식집
[촬영 이세원]



일부 전문가들은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가 줄고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가 늘어난 지표를 두고 일자리 안정자금의 효과가 일부 나타난 것이라는 해석을 내놓기도 한다.

사회간접자본(SOC) 투자 감소 등으로 건설 경기가 꺾이면서 건설업 1인 자영업자도 1만9천명(7.5%) 줄었다.

미용실이 포함된 협회·단체·수리 및 기타서비스업(-1만명·-2.6%), 숙박·음식점업(-6천명·-1.9%) 등도 다른 업종에 비교해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가 큰 감소 폭을 나타냈다.

계약 기간이 1개월 미만인 일용직 감소세는 숙박·음식점업에서 두드러졌다.

지난해 숙박·음식점업 일용직은 전년보다 3만7천명(15.1%) 줄어든 20만7천명에 그쳤다. 도·소매업 일용직도 2만3천명(14.9%) 줄면서 다른 업종에 비교해 감소 폭이 컸다.

중국인 관광객 감소 여파가 누적된 데다 서비스업 무인화, 최저임금 인상, 내수 부진 등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숙박·음식점업, 도·소매업의 상용직은 각각 9천명, 4만8천명 늘었다.

상용직은 광업·교육서비스업 등 일부 업종을 제외하고 대부분 증가세를 보였다.

송민기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자영업 경기가 좋지 않은 것은 맞지만 고용 통계 자체가 패널 분석처럼 같은 대상을 추적하는 형식이 아니기 때문에 자영업 지표의 증감만으로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표] 2017∼2018년 도·소매업 및 숙박·음식점업 종사상 지위별 취업자 현황 (천명)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자료제공 : 현대경제연구원

rock@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