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0 (월)

이슈 '위안부 문제' 끝나지 않은 전쟁

'위안부 피해자의 상징' 김복동 할머니 별세…생존자 23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죽기 전에 일본 아베 총리의 진심 어린 사죄 사과를 받고 싶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김복동 할머니가 1년여의 암 투병 끝에 28일 별세했다. 향년 93세.

중앙일보

김복동 할머니. [뉴스1]




정의기억연대(이하 정의연)는 이날 "김복동 할머니가 이날 오후 10시 41분 별세했다"면서 "김 할머니의 빈소는 연세대 세브란스 병원 장례식장에 차려진다. 조문은 1월 29일 오전 11시부터 가능하다. 2월 1일 발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1926년 경상남도 양산에서 출생한 김 할머니는 15살이던 1940년 일본군에게 속아 위안부로 끌려갔다. 이후 중국·홍콩·말레이시아 등에 끌려다니다가 8년 만인 1947년 고향으로 돌아왔다.

김 할머니는 1992년 위안부 피해 사실을 공개하며 여성 인권 운동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1992년 8월 제1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아시아 연대회의에서 위안부 피해 증언을 시작으로 1993년에는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세계인권대회에 참석해 전 세계에 일본군 위안부 피해 사실을 알렸다.

이후 본인의 이름을 딴 '김복동의 희망' 장학재단을 만들어 분쟁지역 아동과 전쟁 중 성폭력 피해 여성을 돕는 인권 운동을 이어갔다. 또 2012년 3월 8일 세계여성의 날을 맞이해서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쉼터에서 함께 지낸 길원옥 할머니와 함께 '나비 기금'을 발족하기도 했다. 당시 김 할머니는 기자회견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로서 일본대사관 앞에 서서 우리에게 명예와 인권을 회복시키라고 싸우기를 계속하고 있지만, 지금 세계 각지에서 우리처럼 전시 성폭력 피해를 보고 있는 여성들이 얼마나 고통스러울지 나는 너무나 잘 알고 있다"면서 여성들을 돕고 싶다는 의지를 보였다.

이후 유엔인권이사회, 미국·영국·독일·노르웨이·일본 등을 수차례 방문해 '전시 성폭력 피해자들이 생기지 않는 세상을 위한 활동' 등의 해외 캠페인을 진행했다.

2015년 이후에는 한일 위안부 문제 합의를 규탄하며 화해·치유재단 해산과 일본 정부의 공식 사죄를 촉구했다. 꾸준히 기부 활동을 이어온 김 할머니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전쟁 무력분쟁지역 아이들과 여성인권 상금, 포항지진 피해자들에게 각 1000만원에서 5000만원을 기부했다. 암 투병 중이었던 지난해에도 사재 5000만원을 재일조선학교에 장학금으로 기부하기도 했다. 올해 1월에는 '바른 의인상' 상금 500만원을 재일조선학교에 후원했다. 정의연은 "김 할머니는 수많은 위안부 피해자들의 상징이었다"면서 "일본의 진정한 사죄와 제대로 된 배상을 요구해온 인권 평화 활동가였다"고 설명했다.

"죽기 전에 일본 아베 총리의 진심 어린 사죄 사과를 받고 싶다"고 말해온 김 할머니는 지난해 9월 암 투병 중에도 서울 종로구 외교통상부 청사 앞에서 '화해·치유재단 즉각 해산'을 외치며 1인 시위를 했다. 이후 지난해 11월 정부가 화해·치유재단을 해산하기로 공식 발표하자 "지금이라도 이 할머니의 소원을 들어준다고 하니 다행"이라고 밝혔다.

당시 김 할머니는 병상에 누워있으면서도 "(재단 해산까지)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렸다. 화해·치유재단이 와르르, 와르르 무너져야 안심하지, 내일모레 계속 미룰까 봐 걱정된다"고 우려를 내비치며 "이제 남은 것은 일본 정부가 사죄하고 배상하는 일이다. 아베는 사죄하고 배상하라"고 다시 한번 외쳤다.

김 할머니의 별세로 위안부 피해자 생존자는 23명으로 줄었다. 앞서 이날 오전에는 위안부 피해자 이모 할머니가 별세했다. 이 할머니는 그와 유가족의 뜻에 따라 장례를 비공개로 진행한다.

이민정 기자 lee.minjung2@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