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경기도, IoT 기술 이용 실내먼지 줄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기도가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이용해 다중이용시설 실내먼지 줄이기에 나섰다.

경기도는 20일 평택대학교 산학협력단과 MOU를 체결하고, '2019년 IoT 기반 실내공기질 상시측정 및 자동관제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2019년 IoT기반 실내공기질 상시측정 및 자동관제 사업은 민선7기가 도민 제안을 받아 추진하는 대표적인 '미세먼지 저감 공약사업'으로 주민참여예산 3억원을 활용해 올해 처음 시범사업으로 추진된다.

IoT 기술을 활용해 도민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실내먼지를 줄이는 사업으로 △어린이집 △의료원 △노인요양시설 △산후조리원 △도서관 등 5개 분야 국공립시설 50개소에 각각 5개씩 250개 센서를 설치, 미세먼지를 상시 측정하고 자동 제어할 수 있는 '실내공기질 상시측정 및 자동관제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주요내용이다.

IoT기반 실내공기질 상시측정 및 자동관제시스템은 실내외 센서를 통해 미세먼지 유입정도와 실내 자체발생 오염도 등을 측정해 비교 분석한다. 관리자에게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으로 위험 농도를 사전 안내하고, 건물에 설치된 공기청정기와 환기장치를 자동 가동하는 시스템이다.

도는 이날 MOU를 통해 평택대 산학협력단과 'IoT기반 실내공기질 상시측정 및 자동관제시스템' 구축을 위해 상호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도는 △기본계획 수립 △수탁사업자 선정 △설치 운영 등 행정적인 부분을 전담하고, 평택대 산학협력단은 △측정센서 설치 방법 및 적정 설치 위치 자문 △측정데이터 정밀 분석을 통한 경기도에 맞는 실내공기질 표준관리모델제시 등 연구·기술적인 부분을 지원한다는 구상이다.

도는 오는 4월까지 공개입찰을 통해 수탁사업자를 선정한 뒤 5월 중 시군으로부터 추천받은 대상시설 관리자를 대상으로 사업설명회를 실시, 상반기 내로 사업이 착수될 수 있도록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도는 시스템이 구축되면 도내 어린이와 노인 등 건강 취약계층이 주로 이용하는 어린이집, 노인요양시설 등 다중이용시설 실내먼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오는 7월부터 어린이집, 산후조리원 등 민감계층이용시설에 적용되는 강화된 미세먼지 기준에도 충분한 대비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김건 경기도 환경국장은 “올해 시범사업을 통해 효과를 충분히 검증한 뒤 사업을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며 “미세먼지 걱정 없는 경기도를 조성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자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정희기자 jhakim@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