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예탁원 사장 "주총 전자투표 고도화·위임장권유대행 추진"(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9월 전자증권 전환 차질없이 진행"

연합뉴스

이병래 한국예탁결제원 사장
[한국예탁결제원 제공]



(부산·서울=연합뉴스) 이종민 임미나 기자 = 이병래 한국예탁결제원 사장은 20일 "앞으로 더욱 전자적으로 변화할 주주총회 문화에 맞춰 전자투표시스템을 획기적으로 업그레이드하고 주총 결과 집계 등 신규 서비스를 발굴하겠다"고 밝혔다.

이 사장은 전날 부산과 이날 서울에서 잇따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올해 주요 사업계획을 설명했다.

그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주총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기업들이 있어 특별지원반을 구성해 지원하고 전자투표 인지도가 아직 낮은 점을 고려해 홍보활동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예탁원은 외부 컨설팅을 받아 전자투표를 위한 새로운 전산 시스템을 개발해 내년 3월 개설할 예정이다. 새 시스템은 인증 수단이 다양해지고 주총 정보의 사전·사후 알림, 챗봇상담, 기관투자자 전용 플랫폼 등이 포함된다.

예탁원은 또 자본시장법이 개정돼 이메일이나 전화번호 등 주주들의 개인정보 수집이 가능해지면 주주들에게 주총과 전자투표 알림 서비스를 시행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이병래 한국예탁결제원 사장
[한국예탁결제원 제공]



이명근 의결권서비스부장은 "최근 주총 성립이 어려운 회사들이 사설 업체에 (주주들을 대상으로 한) 위임장 권유 서비스를 요청하고 있다"며 "이런 부분을 제도권 내로 가져와 위임장권유 대행업을 증권회사와 함께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삼성전자의 경우에는 주주가 78만명인데 주총을 오프라인으로 하면 현장에서 주총 결과를 집계하는 데 하루 정도 걸릴 것"이라며 "그런 부분에 관해 예탁원에 요청하면 온·오프라인 전자투표 결과를 현장에서 즉시 집계해 제공하는 서비스도 도입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삼성전자[005930]와 한진칼[180640]의 전자투표 도입 여부에 관해서는 "아직 이용 계약은 돼 있지 않지만 최근 두 회사 측에서 전자투표를 어떻게 활용 가능한지 문의를 해오고 있는 상황"이라고 답했다.

이병래 사장은 "미래에셋대우[006800]가 새로 전자투표 플랫폼을 출시하면서 업계나 시장의 관심이 높아져 전자투표 활성화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래에셋대우와 달리 예탁원은 수수료를 받는 것과 관련해서는 "예탁원은 전자투표 업무를 수익사업이 아니라 공익적인 측면에서 해왔고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유지·보수, 발전시켜야 하는 과제가 있기 때문에 일정 정도의 수익자 부담차원에서 수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오는 9월 16일부터 시행하는 전자증권제도에 관해서는 "전자증권으로 전환하는 과정이 기술적으로 어렵지만, 현재까지 차질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전자증권제도는 종이로 된 실물증권 대신 전산 시스템에 등록하는 방식으로 증권을 발행하고 유통하는 것을 말한다.

전자증권을 등록 신청하려면 발행회사들은 정관을 먼저 변경해야 하고 기존 종이증권을 보유한 주주는 오는 8월 21일까지 증권회사를 방문해 주권 예탁을 해야 한다.

예탁원은 전자증권 제도가 정착되면 증권 발행과 관리에 비용이 대폭 줄어들고 실물증권을 이용한 조세회피 등 음성적인 거래나 증여 행위도 차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예탁원은 전자증권제 전환에 따른 누적 경제효과가 5년간 9천45억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ljm703@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